백악관 "역사적인 무역 합의,
페이지 정보
작성자 coajfieo 댓글 0건 조회 6회 작성일 25-08-01 15:33본문
쿠팡퀵플렉스
백악관 "역사적인 무역 합의, 한국에서 얻어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지난 30일(현지시간) 워싱턴DC 백악관에서 한국 정부 협상단과 무역 합의를 타결한 이후 단체사진을 함께 찍고 있다. 2025.7.31 [사진=연합뉴스, 백악관 엑스 계정]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한국 정부 협상단이 무역 협상을 타결하고 나서 찍은 사진이 31일(현지시간) 옛 트위터인 엑스(X)에 공개됐다. 백악관은 이날 "트럼프 대통령이 또 하나의 역사적인 무역 합의를 한국에서 얻어 냈다"면서 트럼프 대통령과 협상단이 전날 백악관에서 찍은 단체 기념사진을 엑스(X)에 올렸다. 사진을 보면 트럼프 대통령과 한국 협상단을 이끈 구윤철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가운데에 있고 양국 각료들이 양옆으로 늘어섰다. 트럼프 대통령은 가운데에서 '엄지척'을 하면서 환하게 웃고 있고, 구윤철 부총리도 함께 엄지척을 하고 있는 모습이다.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여한구 통상교섭본부장 등 한국 대표단도 대체로 밝은 표정으로 서 있다. 마코 루비오 국무장관, 스콧 베센트 재무장관, 하워드 러트닉 상무장관, 제이미슨 그리어 미국무역대표부(USTR) 대표도 웃으며 포즈를 취하고 있다. 백악관은 해당 사진을 게시하면서 "한국은 미국에 3500억달러(약 486조원)를 투자하고 1000억달러의 미국산 에너지를 구매하며, 미국산 상품에 관세를 부과하지 않는 완전 개방 무역을 추진한다"고 했다. 캐롤라인 래빗 백악관 대변인은 이날 언론 브리핑에서 "어제 (대통령과 한국 대표단 간) 면담은 매우 성공적이었다"고 말했다. 이어 "이번 합의의 핵심은 한국이 (트럼프) 대통령의 지시에 따라 미국 산업 재활성화를 위해 3500억달러를 투자하기로 동의한 것"이라며 "투자 수익의 90%는 미국 정부에 귀속돼 국가 부채 상환과 대통령이 선택한 기타 사안에 사용될 것"이라고 밝혔다. 한미 양국은 31일 상호관세 부과 시한을 하루 앞두고 관세 협상을 타결했다. 미국은 상호관세와 자동차 품목 관세를 25%에서 15%로 낮추기로 했다. 한국은 관세를 낮추는 대신 3500억 달러 규모의 미국 펀드에 투자하기로 했다. 이중 1500억 달러는 조선 분야에, 2000억 달러는 반도체, 원전, 2차전지, 바이오 등에 조성된다. 또 향후 4년간 LNG 등 1000억 달러 상당의 미국산 에너지를 구매하기로 했다. 백악관 "역사적인 무역 합의, 한국에서 얻어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지난 30일(현지시간) 워싱턴DC 백악관에서 한국 정부 협상단과 무역 합의를 타결한 이후 단체사진을 함께 찍고 있다. 2025.7.31 [사진=연합뉴스, 백악관 엑스 계정]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한국 정부 협상단이 무역 협상을 타결하고 나서 찍은 사진이 31일(현지시간) 옛 트위터인 엑스(X)에 공개됐다. 백악관은 이날 "트럼프 대통령이 또 하나의 역사적인 무역 합의를 한국에서 얻어 냈다"면서 트럼프 대통령과 협상단이 전날 백악관에서 찍은 단체 기념사진을 엑스(X)에 올렸다. 사진을 보면 트럼프 대통령과 한국 협상단을 이끈 구윤철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가운데에 있고 양국 각료들이 양옆으로 늘어섰다. 트럼프 대통령은 가운데에서 '엄지척'을 하면서 환하게 웃고 있고, 구윤철 부총리도 함께 엄지척을 하고 있는 모습이다.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여한구 통상교섭본부장 등 한국 대표단도 대체로 밝은 표정으로 서 있다. 마코 루비오 국무장관, 스콧 베센트 재무장관, 하워드 러트닉 상무장관, 제이미슨 그리어 미국무역대표부(USTR) 대표도 웃으며 포즈를 취하고 있다. 백악관은 해당 사진을 게시하면서 "한국은 미국에 3500억달러(약 486조원)를 투자하고 1000억달러의 미국산 에너지를 구매하며, 미국산 상품에 관세를 부과하지 않는 완전 개방 무역을 추진한다"고 했다. 캐롤라인 래빗 백악관 대변인은 이날 언론 브리핑에서 "어제 (대통령과 한국 대표단 간) 면담은 매우 성공적이었다"고 말했다. 이어 "이번 합의의 핵심은 한국이 (트럼프) 대통령의 지시에 따라 미국 산업 재활성화를 위해 3500억달러를 투자하기로 동의한 것"이라며 "투자 수익의 90%는 미국 정부에 귀속돼 국가 부채 상환과 대통령이 선택한 기타 사안에 사용될 것"이라고 밝혔다. 한미 양국은 31일 상호관세 부과 시한을 하루 앞두고 관세 협상을 타결했다. 미국은 상호관세와 자동차 품목 관세를 25%에서 15%로 낮추기로
쿠팡퀵플렉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