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일 평양에서 열린 중국군 창설 98주년 기념 리셉션 [주북 중국대사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베이징=연합뉴스) 박수윤 기자 정성조 특파원 = 중국이 6년 만에 평양 주재 중국대사관에서 중국군 창설 기념 행사를 열었다.23일 북한 조선중앙통신과 북한 주재 중국대사관에 따르면 왕야쥔 중국대사는 전날 평양 대사관에서 건군 98주년 리셉션을 개최했다.북측에서는 김강일 국방성 부상(중장)과 문성혁 당 중앙위원회 국제부 부부장, 박영일 인민군 총정치국 부국장(중장), 김성철 해군 부사령관(소장), 최광식 공군 부사령관(소장), 박명호 외무성 부상, 김성남 사회안전성 부상, 김익성 외교단사업국 총국장을 비롯해 당·정·군 책임자가 참석했다.중국대사관은 전날 행사에 중국 측에서 왕야쥔 대사, 펑춘타이 공사, 왕이성 국방무관(소장)과 북한 주재 타국 외교사절·무관 등 모두 150명가량이 참석했다고 전했다.대사관에 따르면 박영일 부국장은 축사에서 "조중(북중) 양국 군은 여러 전쟁에서 손잡고 제국주의 침략자에 맞섰고, 같은 참호에서 함께 작전을 펴면서 우호 단결의 빛나는 전범을 만들었다"며 "조선(북한)은 중국과 함께 최고 지도자의 숭고한 의지에 따라 조중 우호 관계의 발전과 양국 사회주의 위업에 견실한 보장을 제공할 것"이라고 했다.왕이성 무관은 "중국은 양국 최고 지도자의 중요한 공동인식을 굳게 이행하며 양국 군의 우호 교류를 잘 전개할 것"이라면서 "중조 관계가 더 발전하고 지역의 평화 안정을 더 잘 수호하는 데 더 큰 공헌을 할 것"이라고 했다고 중국대사관은 설명했다.조선중앙통신은 참가자들이 "경애하는 김정은 동지의 건강을 축원하여, 존경하는 습근평(시진핑) 동지의 건강을 축원하여, 조중 두 나라 군대들 사이의 전투적 친선과 단결, 중국 인민해방군의 끊임 없는 강화 발전을 위하여 잔을 들었다"고 전했다. 22일 평양에서 열린 중국군 창설 98주년 리셉션 [주북 중국대사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중국은 1927년 8월 1일 현 중국인민해방군의 전신인 홍군(紅軍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지난 4월30일(현지시간) 워싱턴 백악관에서 20여명의 글로벌 기업 CEO가 참석한 가운데 열린 '미국 투자' 행사서 젠슨 황 엔비디아 CEO의 발언을 듣고 있다. /AFPBBNews=뉴스1 엔비디아 창립자 겸 최고경영자(CEO) 젠슨 황이 최근 미국 정부로부터 자사 반도체의 대중 수출 승인을 얻어낸 가운데 트럼프 2기 행정부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기업인으로 부상했다는 평가가 나왔다.22일(현지시간) CNBC는 젠슨 황 엔비디아 CEO가 트럼프 1기 때 기업 가치와 정치적 영향력 면에서 가장 앞서 있던 팀 쿡 애플 CEO나 트럼프 2기 초반 대통령 최측근이던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의 영향력을 넘어섰다고 보도했다. 매체는 트럼프 1기 행정부에서 중국과 무역 전쟁이 벌어졌을 때 쿡 CEO가 중국과 강력한 관계를 유지하면서도 트럼프 대통령과 좋은 관계를 맺어 미국 관세를 피하고 중국에서 성장을 이어갈 수 있었다고 평했다. 당시 쿡 CEO는 중국에서 생산해 미국에 들여오는 아이폰에 관세를 부과하면 중국산이 아닌 삼성전자의 스마트폰이 미국에서 유리해진다고 트럼프를 설득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결과 쿡은 뛰어난 전략가이자 중국에 파견된 미국 기업 특사라는 명성도 얻었다.그러나 트럼프 2기 행정부와 쿡 CEO는 사이가 멀어졌다. 애플이 지난 2월 미국에 5000억달러 투자를 발표했음에도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5월 애플이 미국 대신 인도에서 제품을 생산하는 것을 두고 "팀 쿡과 약간 문제가 있다"며 불만을 드러냈다. 트럼프 대통령의 무역 정책 고문인 피터 나바로도 쿡 CEO가 중국에서 아이폰 생산 시설을 이전하는 속도가 느리다고 비판했다. 2017년 6월19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 백악관 스테이트 다이닝룸에서 애플 최고경영자 팀 쿡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에게 이야기하고 있다. /AP=뉴시스 트럼프 2기 행정부에서 애플은 미국의 가장 가치 있는 기업이라는 지위를 엔비디아에 내줬다. 인공지능(AI) 붐의 선두에 선 엔비디아는 지난 11일 세계 최초로 시가총액 4조달러대에 올라섰다. 이에 더해 정치적 영향력에서도 황 CEO의 카리스마 있는 리더십이 쿡 CEO를 앞지르고 있다고 기술 전문가들은 평가했다. 미국 리서치 회사 콘스텔레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