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투자망은 스타트업/벤처기업/자영업체 ↔ 투자자 간의 자율진행장터
전략적투자자(SI) 및 재무적투자자(FI)가 투자자로서 함께 참여합니다.

팝업닫기

15일 미국 콜로라도주 애스

페이지 정보

작성자 coajfieo 댓글 0건 조회 4회 작성일 25-07-16 13:36

본문

15일 미국 콜로라도주 애스펀에서 열린 애스펀안보포럼(ASF)에서 니콜라스 번스 전 주중대사(오른쪽)가 제니 민톤 베도스 이코노미스트 편집장과 대담을 하고 있다. /애스펀(콜로라도주)=김은중 특파원 로키산맥이 솟은 산악 지대로 유명한 미국 콜로라도주(州) 애스펀에서 싱크탱크 애스펀연구소가 주최하는 연례 회의 ‘애스펀안보포럼(ASF)’이 15일부터 나흘 일정으로 개막했다. 올해로 16번째를 맞은 애스펀안보포럼은 미국과 세계 주요 국가의 전·현직 고위 관료와 학계 인사들이 모여 당면한 세계 안보 문제에 대해 머리를 맞대고 논의하는 행사다. 인구가 6000명에 불과한 소도시 애스펀은 맥도널드·스타벅스도 찾아볼 수 없는 그야말로 ‘깡촌’인데 매년 여름 이맘때면 북새통을 이루는 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전쟁’, 미국과 중국의 전략 경쟁, 중동 분쟁 등 혼란한 국제 정세 속 정답을 찾기 위해서다.올해도 애스펀전략그룹(ASG) 공동 의장인 니콜라스 번스 전 주중대사, 콘돌리자 라이스 전 국무장관을 비롯해 제이크 설리번 전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 크리스 쿤스·마크 워너 연방 상원의원, 마크 에스퍼·로버트 게이츠 전 국방장관, 케빈 러드 전 호주 총리, 비비안 발라크리쉬난 싱가포르 외교장관, 바이바 브라제 라트비아 외교장관 등 글로벌 오피니언 리더 1000명이 참석해 나흘간 머리를 맞댄다. 토론 대상은 미·중 경쟁, 이스라엘과 이란의 분쟁 같은 지정학 이슈부터 인공지능(AI), 우주, 사이버 안보 등 다양한 주제를 망라한다. 트럼프가 매번 ‘가짜 뉴스’라 쏘아붙이는 CNN의 백악관 출입기자 케이틀린 콜린스, 180년 이코노미스트 역사상 첫 여성 편집장에 선출된 제니 민턴 베도스 같은 스타 언론인들이 진행자로 나선다.올해 5월 타계한 조셉 나이 하버드대 교수가 브렌트 스코크로프트 전 국가안보보좌관과 공동 창업자 자격으로 지난 40년 동안 애스펀전략그룹에 몸담았는데 번스는 “공화당도 민주당도 없는 초당파 정신에 따라 올해도 치열하게 토론할 것”이라고 했다. 이번 포럼 한국기계연구원이 운영중인 온실 실증시설 [촬영 박주영] (전주=연합뉴스) 박주영 기자 = "연료전지와 태양열, 히트펌프 등 삼중 열원을 통해 완전한 에너지 자립이 가능한 온실을 구현할 수 있습니다." 지난 14일 전북 전주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내 온실 실증시설. 660여㎡ 규모의 비닐하우스 안에 원통형 덕트를 감고 있는 덩굴마다 붉고 푸른 토마토가 많게는 수십 개씩 매달려 있었다. 덕트에서는 실내 온도 28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찬 바람이 흘러나오고 있었고, 토마토 가지마다 양액을 공급하는 배지가 놓여 있었다.지난 1월 심은 데프니스 품종 토마토가 벌써 4m 높이까지 자랐다.토마토는 시설 하우스 내 고온으로 인해 여름철 생산이 어려워 보통 농가에서는 7월 초면 수확이 끝나지만, 이곳에서는 사시사철 익어가는 토마토를 볼 수 있다. 한국기계연구원이 실증 중인 '온실 3중 열병합 발전 시스템'을 통해 여름철에도 냉열을 공급할 수 있기 때문이다. 온실 3중 열병합시스템 설비 [촬영 박주영] 온실 3중 열병합시스템은 수소 등을 이용한 30㎾(킬로와트)급 연료전지, 공기 열원을 활용한 히트펌프(공기나 땅, 물 등 버려지는 열원에서 열에너지를 얻어 냉난방에 활용하는 장치), 태양열 등 세 가지 에너지를 이용해 전기를 생산하고 발생하는 열을 냉방과 난방에 활용하는 기술이다. 주간에는 태양열을 이용하고 야간이나 비가 올 때는 연료전지와 히트펌프를 조합해 운전함으로써 유연하게 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다. 기존 온실 냉난방시스템은 주로 태양열이나 지열 등 단일 재생에너지 기반으로 설계돼 날씨에 따라 에너지 공급이 불안정해지거나 계절에 따라 효율이 저하되는 등 한계가 있었다. 이상민 기계연 미래농생명공학연구단장은 "온실은 외부 기상 조건의 영향을 많이 받기 때문에 안정적으로 온도를 유지하는 기술이 관건"이라며 "농업 분야에 처음으로 수소연료전지를 적용해 계절에 상관없이 농작물을 재배할 수 있는 온실 발전시스템을 개발했다"고 말했다.연료전지 배열과 태양열은 겨울철에는 온열을, 여름철에는 흡착식 냉방기를 통해 냉열을 공급하는 원리이다. 태양열과 연료전지에서 생성된 온수를 흡착식 냉방기의 열원으로 사용해 냉수를 생산하고, 이를 30t급 축열조에 축냉해 냉열로 전환한다. 한국기계연구원이 운영 중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