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데일리 한전진 기자] “멈추세요. 더는 들어오실 수 없습니다.”16일 오전 9시, 경기도 오산 롯데인재개발원 정문 앞. 롯데그룹 ‘2025년 하반기 VCM(Value Creation Meeting·옛 사장단 회의)’ 참석 차량이 줄지어 들어서는 사이, 정문 경비요원이 외부인에 단호하게 제지의 말을 건넸다. 본관까지 이어지는 약 30m 구간 5명의 보안 인력이 삼엄하게 배치돼 있었고, 초록색 번호판을 단 법인 차량을 중심으로 신원이 확인된 차량만 통과가 허용됐다. 외부 차량의 접근은 철저히 제한됐다. 16일 오전 롯데인재개발원 정문 앞에서 경비 인력이 참석 차량을 맞이하고 있다. 이날 오산 인재개발원에서는 롯데그룹 ‘2025 하반기 VCM(옛 사장단 회의)’이 비공개로 진행됐다. (사진=한전진 기자) 번호 확인을 마친 차량들이 조용히 정문을 통과했고, 차들이 지나간 뒤 인근은 이내 다시 정적에 잠겼다. 정문 밖으로 로비 안에서는 정장을 갖춰 입은 인사들이 신중한 표정으로 통화하거나 나지막이 대화를 나누는 모습이 포착됐다. 정문 너머로 보이는 본관 내부는 분주함 대신 고요함이 감돌았다. 롯데그룹은 이날부터 이틀간 ‘2025 하반기 VCM’을 진행한다. 회의 장소는 외부와 차단된 리조트형 교육시설인 롯데인재개발원이다. 임원진이 한 건물 안에 머물며 숙박과 식사를 함께하는 합숙형 일정으로, 내부 숙소와 구내식당이 함께 갖춰져 있다. 회의 장소로서 ‘외부와의 차단’과 ‘집중적 토론’이 모두 가능한 구조다.이번 VCM은 롯데그룹이 처음으로 이틀 일정으로 진행하는 사장단 회의다. 기존에는 서울 송파 롯데월드타워에서 하루 일정으로 진행됐지만, 올해는 이례적으로 장소를 오산으로 옮기고 회의 일정을 늘렸다. 정장을 갖춰 입은 인사들이 롯데인재개발원 본관 로비 앞에서 대화를 나누고 있다. 회의 시작 시각조차 비공개로 진행된 이번 VCM은 철저한 통제 속에 열렸다. (사진=한전진 기자) 한국기계연구원이 운영중인 온실 실증시설 [촬영 박주영] (전주=연합뉴스) 박주영 기자 = "연료전지와 태양열, 히트펌프 등 삼중 열원을 통해 완전한 에너지 자립이 가능한 온실을 구현할 수 있습니다." 지난 14일 전북 전주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내 온실 실증시설. 660여㎡ 규모의 비닐하우스 안에 원통형 덕트를 감고 있는 덩굴마다 붉고 푸른 토마토가 많게는 수십 개씩 매달려 있었다. 덕트에서는 실내 온도 28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찬 바람이 흘러나오고 있었고, 토마토 가지마다 양액을 공급하는 배지가 놓여 있었다.지난 1월 심은 데프니스 품종 토마토가 벌써 4m 높이까지 자랐다.토마토는 시설 하우스 내 고온으로 인해 여름철 생산이 어려워 보통 농가에서는 7월 초면 수확이 끝나지만, 이곳에서는 사시사철 익어가는 토마토를 볼 수 있다. 한국기계연구원이 실증 중인 '온실 3중 열병합 발전 시스템'을 통해 여름철에도 냉열을 공급할 수 있기 때문이다. 온실 3중 열병합시스템 설비 [촬영 박주영] 온실 3중 열병합시스템은 수소 등을 이용한 30㎾(킬로와트)급 연료전지, 공기 열원을 활용한 히트펌프(공기나 땅, 물 등 버려지는 열원에서 열에너지를 얻어 냉난방에 활용하는 장치), 태양열 등 세 가지 에너지를 이용해 전기를 생산하고 발생하는 열을 냉방과 난방에 활용하는 기술이다. 주간에는 태양열을 이용하고 야간이나 비가 올 때는 연료전지와 히트펌프를 조합해 운전함으로써 유연하게 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다. 기존 온실 냉난방시스템은 주로 태양열이나 지열 등 단일 재생에너지 기반으로 설계돼 날씨에 따라 에너지 공급이 불안정해지거나 계절에 따라 효율이 저하되는 등 한계가 있었다. 이상민 기계연 미래농생명공학연구단장은 "온실은 외부 기상 조건의 영향을 많이 받기 때문에 안정적으로 온도를 유지하는 기술이 관건"이라며 "농업 분야에 처음으로 수소연료전지를 적용해 계절에 상관없이 농작물을 재배할 수 있는 온실 발전시스템을 개발했다"고 말했다.연료전지 배열과 태양열은 겨울철에는 온열을, 여름철에는 흡착식 냉방기를 통해 냉열을 공급하는 원리이다. 태양열과 연료전지에서 생성된 온수를 흡착식 냉방기의 열원으로 사용해 냉수를 생산하고, 이를 30t급 축열조에 축냉해 냉열로 전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