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은 기사 내용과 무관함. 뉴스1 [서울경제] 국민연금공단이 직접 노인의 재산을 관리하고 생활비·병원비 등을 지급하는 '고령자 공공신탁’ 제도를 도입해야 한다는 제안이 나왔다.집 한 채가 전 재산인 고령층의 경우 현금이 부족해 생활고에 시달리거나 치매 등으로 자산 관리 능력이 떨어져 금융사기·가족 갈취에 노출되는 경우가 많아 공공기관이 직접 나서야 한다는 주장이다.10일 국민연금공단에 따르면 국민연금연구원은 '고령자 공공신탁 사업모델 구축에 관한 연구' 보고서를 통해 국민연금공단이 신탁 사업의 주체로 나설 것을 제안했다.공공신탁은 공단이 고령자의 부동산, 예금, 주식, 보험금 등을 맡아 매달 생활비를 지급하고, 병원비·요양비는 물론 사후 장례비와 상속까지 처리하는 종합 자산관리 서비스다.보고서는 국민연금공단이 전 국민을 대상으로 연금 서비스를 제공하며 쌓아온 높은 신뢰도와 전국 지사망을 갖추고 있어 공공신탁 사업의 최적임자라고 평가했다.현행 민간 금융사의 신탁 상품은 수수료가 높고 수익 중심 운영이라 중산층·저소득 노인은 이용이 어렵다는 한계도 지적됐다.실제 국민연금연구원이 50세 이상 1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73.1%가 '공공신탁 제도가 필요하다'고 응답했으며, 신탁 기관으로는 국민연금공단을 선호한다는 응답이 71.9%에 달했다. 민간 은행(13.6%), 보험사(5.2%)를 크게 앞섰다.국민들이 공공신탁에 기대하는 역할은 단순한 자산 증식이 아니다. '생활비 마련을 위한 자산관리'(38.8%), '의료비·요양비 등 지출 관리'(23.9%), '상속 및 증여 지원'(17.3%) 등을 필요하다고 응답했다.보고서는 △생활비 지급 신탁 △의료비·요양비 신탁 △부동산 관리·처분 신탁 △유언대용신탁(상속) 등 고객의 필요에 맞춘 다양한 맞춤형 상품 모델을 제시했다.예를 들어 '부동산 관리·처분 신탁'은 자가에 거주하길 원하는 노인에겐 주택연금과 연계하고, 처분을 원하면 공단이 대신 매각해 자산을 운용해주는 방식이다.연구진은 "초고령사회에서 노인의 경제적 자립과 존엄한 삶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신뢰할 수 있는 공공기관이 재산 관리의 '집사' 역할을 해야 한다"며 "국민연금 공공신탁은 금융 착취로부터 노인을 보호하고, '자산은 많지만, 현금이 부족한' 다수 노년층의 영국을 국빈 방문 중인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이 8일(현지시간) 만찬에서 케이트 미들턴 왕세자비에게 윙크하고 있다. 2025.07.08. ⓒ AFP=뉴스1 (서울=뉴스1) 권영미 기자 =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이 영국 국빈 방문 중 만찬에서 케이트 미들턴 왕세자비에게 윙크를 보내는 장면이 포착됐다.10일(현지시간) 피플지에 따르면 지난 8일 윈저성에서 열린 이번 만찬은 프랑스 대통령의 17년 만의 공식 국빈 방문을 기념하는 자리로, 마크롱 대통령은 찰스 국왕과 케이트 왕세자비 사이에 착석했다.그는 왕세자비의 의자를 공손히 직접 빼주고 왕세자비 착석 후 그의 옆에 앉았다. 이후 마크롱 대통령이 건배 도중 왕세자비에세 윙크를 보내는 장면이 카메라에 포착됐다. 그리고 이 장면은 SNS에서 빠르게 퍼졌다. 8일(현지시간) RAF 노스홀트 공항에 직접 마중 나온 케이트 미들턴 영국 왕세자비 손에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이 키스하고 있다. 2025.07.08.ⓒ AFP=뉴스1 앞서 윌리엄 왕세자와 케이트 왕세자비는 마크롱 대통령 부부를 맞이하기 위해 RAF 노스홀트 공항에 직접 마중 나갔고, 마크롱 대통령은 이때도 케이트 왕세자비의 손에 입을 맞추는 인사를 건넸다.일부에서는 이 제스처가 의외라는 반응도 있었지만, 실제로 왕실 의전에 어긋나는 것은 아닌 걸로 간주한다. 왕실 공식 웹사이트에 따르면 왕족을 만날 때 반드시 지켜야 할 행동 규범은 없다고 명시돼 있다.이날 만찬 테이블은 배우자들이 서로 마주 보는 방식으로 배치되었다. 그래서 케이트 왕세자비와 마크롱 대통령, 찰스 국왕이 한쪽에 앉았고, 윌리엄 왕세자와 브리지트 마크롱 여사, 카밀라 왕비는 반대편에 자리했다.이날 만찬에는 엘튼 존과 그의 파트너인 데이비드 퍼니시, 믹 재거, 배우 크리스틴 스콧 토마스, 키어 스타머 영국 총리 등 유명 인사들도 참석했다.kym@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