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현수 대구지방기상청장이 대구 지역의 올 여름철 기상전망과 미래 기후 전망을 설명하며 향후 폭염대응 융합 서비스와 지자체 협업 등을 안내하고 있다. /장은희기자 “폭염과 기후위기의 시대에 기상정보는 가장 신뢰할 수 있는 안전망입니다.” 이현수(55) 대구지방기상청장은 고향 대구에 부임한 첫 대구 출신 청장이다. 그는 뉴스에서 직접 일기도를 손으로 그려가며 고기압과 저기압을 설명하던 고(故) 김동환 통보관을 또렷이 기억했다. 그 시절 통보관의 모습에 감명을 받아 기상의 길을 걷게 됐다고 한다. 이 청장은 “기상청 입사 후 처음으로 고향 대구로 돌아왔다. 고향에 다시 오게 된 소회가 남다르다”며 “밖에만 나가도 실감이 난다. 역시 ‘대프리카(대구+아프리카)’는 정말 덥다”며 체감을 전했다. 이 청장은 고향에 돌아온 감회만큼이나 기상청장으로서의 책임감도 컸다. 그는 폭염과 기후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학계와의 협업에 주력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고향에 부임한 첫 대구 출신 청장故 김동환 통보관 보며 ‘기상의 길’학계와 협업, 청년 실무경험 증대폭염 디지털 트윈 플랫폼 운영 등정보 신뢰성·전달속도 제고 온힘‘대프리카’ 미래기후 대응에 충실 이 청장은 “학교와 협력해 이론에 머무르는 교육이 아니라 학생들이 실무를 직접 경험할 기회를 더 늘리고 싶었다”며 ”학생들이 일기도를 그리고, 관측과 예보를 직접 체험할 수 있는 대학생 기상아카데미 과정을 확대했다. 청년들이 기후위기에 대응하는 전문성을 쌓도록 돕고 싶다”고 말했다. 그는 또 “최근 대구보다 더 더운 곳이 있어 ‘대프리카’가 아닌 것 아니냐는 질문이 있다”며 “기후값으로 비교해보면 평년값 기준으로 대구의 여름철 평균기온은 25.5 ℃로 전국(23.7 ℃)에서 가장 높고, 폭염일수도 연간 27.6일로 전국에서 가장 많이 발생했다. 통계기간마다 순위 차이는 조금씩 있지만, 대구가 여름철기온에서 항상 높은 순위를 차지하고 있어 ‘대프리카’가 맞다”고 말했다. 이 청장은 대구지역의 미래 기후에 대해 우려를 표했다. 그는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르면 대구의 연평균 기온은 21세기 후반 최대 6.4도 상 ━ 중국 AI혁명 현장을 가다<상> 어릴 때 오른손을 잃고 브레인코의 인공 손(바이오닉 핸드)을 장착한 중국 청년이 피아노를 치고 있다. 뇌파 신호를 감지해 손을 조작하는 뇌-컴퓨터 인터페이스(BCI) 기술과 인공지능(AI) 알고리즘 기술이 적용됐다. 인공 다리도 시판되고 있다. 장진영 기자 ‘바이오닉 핸드’로 불리는 인공 손으로 붓글씨를 쓰고, 악수하는 모습은 충격적이었다. 인공지능(AI)을 기반으로 인공 팔과 다리를 만드는 중국 AI 혁신기업 브레인코에서의 경험이다. 중국에서는 수많은 장애인이 기존의 의족·의수를 벗어던지고 정상적인 사회생활을 하는 세상이 펼쳐지고 있다. 세계 처음으로 바퀴 달린 4족 로봇이 사막을 질주하는 단계로 발전했고, 중국의 전력·소방 시설에 투입되고 있다. 2016년 이세돌을 4대 1로 누른 알파고의 충격은 한국에서 벌어졌는데 천금의 기회는 중국이 잡았다. AI 기술 종합평가에서 한국은 6위로 전락했고, 2위에 오른 중국은 AI를 제조업과 접목하는 AIx의 선도자로 질주하고 있다. 뉴욕타임스(NYT) 칼럼니스트 토머스 프리드먼은 지난 4월 이 같은 AI 기술혁명 현장을 둘러보고 “나는 미래를 보았다. 미래는 미국에 있지 않았다”고 견문록을 썼다. 양손을 잃고 브레인코의 스마트 인공 손을 착용한 남성이 한비청 CEO 옆에서 붓글씨를 쓰고 있다. 장진영 기자 ‘평화 오디세이’가 중국 AI 혁명의 현장을 찾았다. 한반도평화만들기 재단(이사장 홍석현 중앙홀딩스 회장)이 2015년 닻을 올린 평화 오디세이는 지난달 29일부터 이달 2일 상하이·항저우에서 AI와 제조업의 융합 현장을 돌아봤다. 홍 이사장은 “고종이 근대화가 늦으면서 신사유람단을 일본에 파견한 그 상황을 상기하게 됐다”며 “우리한테 주어진 이 3년 내지 5년의 시간을 활용하지 않는 한 피크 코리아라는 말이 좀 현실화되지 않을까 위기의식을 느꼈다”고 말했다. 오디세이 참관단은 가는 곳마다 한·중 기술격차가 뒤집어지는 것은 한순간이라는 현실을 목도하면서 한국이 첨단 AI 경쟁에서 낙오되지 않는 방안을 모색했다. AI가 미·중 기술 패권 경쟁의 승부처가 되면서 중국에서 AI 혁명은 단순한 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