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월 28일 중국 베이징에서 열린 휴머노이드 로봇 축구 경기에서 중국 농업대학의 산악해 팀 로봇이 경기에 나서고 있다. 신화연합 [서울경제] 로봇 강국을 꿈꾸고 있는 중국에서 올해 5월까지 로봇 분야 투자액이 이미 지난해 전체 투자 규모를 넘어선 것으로 집계됐다. 로봇 산업의 발전이 아직 초기 단계인 점을 감안하면 투자자들의 관심은 더욱 늘어날 전망이다.4일 중국 경제매체 제일재경은 IT오렌지의 데이터를 이용해 올해 1월부터 5월까지 로봇 분야 투자액이 232억 위안(약 4조 4234억 원)에 달해 2024년 연간 총액 209억 위안(약 3조 9842억 원)을 넘어섰다고 보도했다.류톈제 화잉캐피탈 이사는 과거 초기 기술 산업과 달리 올해 두드러진 특징은 대형 산업 투자자들의 진입이라고 설명했다. 과거 메이퇀, 바이트댄스, 알리바바, 텐센트 등 인터넷 기업들이 산업에 진출하는 것은 일반적이었지만 비야디, CATL 등 대형 제조업체가 투자에 참여하는 현상은 이례적이라는 것이다. 그는 “기술이 완전히 검증되지 않았고 상업화도 아직 완료되지 않은 초기 단계에서 투자에 참여하는 것은, 이러한 대형 제조업체 내부에도 자체 전략적 고려가 있음을 보여준다”고 말했다.기관들은 경쟁적으로 진출하며 투자 대상 기업에 예상보다 훨씬 큰 투자액을 제공하지만, 체화지능 산업의 창업자들은 가치가 저평가 돼 있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전해진다. 이는 체화지능 산업의 특수한 발전 단계를 반영하며, 관련 산업의 수 조 위안 규모의 전망으로 시야를 넓히면 단순히 큰 파도가 모래를 가르는 전조에 불과하는 평가도 나온다.류 이사는 자신의 책상에 체화지능 프로젝트의 사업계획서가 산더미처럼 쌓여 있다며 딥로보틱스의 지난 라운드 투자 규모가 원래 계획보다 약 10배 초과했다고 밝혔다. 그는 유니트리도 뜨거운 관심을 받았지만 유니트리는 투자 초청제를 채택해 많은 기관이 투자에 참여하지 못했다고 설명했다.초기 투자의 경우 위험성이 크고 성공률이 낮지만 화잉캐피탈은 앞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3일(현지 시간) 아이오와로 출발하기에 앞서 메릴랜드주 앤드루스 합동기지에서 에어포스원(미 대통령 전용기)에 탑승하기 전 취재진에 발언하고 있다./로이터=뉴스1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농장, 호텔에서 일하는 불법 이주민들에 대해서는 미국 거주를 조건부 허용하겠다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아이오와 디모인에서 열린 행사 연설에서 "농장주가 이들(불법 이주민들의) 신원을 보증해준다면 (미국 거주를 허용해도) 좋다고 생각한다"며 이같이 밝혔다.트럼프 대통령은 "농장 일손을 끊는 일은 하고 싶지 않다"고 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취임과 함께 불법 이주민 추방 정책을 밀어붙이자 농장주들은 일손이 부족해질 것이라며 불만을 표시했다. 특히 아이오와 주는 농업이 주력이라 불법 이주민 단속 정책에 큰 영향을 받는다.또 트럼프 대통령은 "호텔업과 관련해서도 국토안보부와 협력 중"이라고 했다. 호텔업도 불법 이주민들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 산업으로 꼽힌다.트럼프 대통령은 취임 직후부터 불법 이주민 단속, 추방 정책을 강력하게 밀어붙였다. 그러나 지난달 로스앤젤레스(LA)에서 벌어진 대규모 시위 이후 한발 물러서는 듯한 행보를 보였다. 트럼프 대통령은 일주일 만인 지난 12일 트루스소셜 게시글에서 불법 이주민 단속 때문에 노동력 수급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농업, 호텔업계 주장을 전하면서 "불법 이주민들이 이쪽에 많이 종사한다. 농가를 지켜야 하지만 범죄자들은 쫓아내야 한다"고 했다. 다음 날 미국 이민세관단속국(ICE)은 시위 농장, 식당에 대한 현장 단속을 중단하라는 지침을 하위부처에 내려보냈다. 그러나 그 사흘 뒤 이민세관단속국은 지침을 뒤집고 단속 재개 명령을 내렸다. 악시오스, 워싱턴포스트(WP) 등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브룩 롤린스 미국 농무부 장관으로부터 인력난을 우려하는 농가 목소리를 전해듣고 단속을 완화하려 했으나, 스티븐 밀러 백악관 부비서실장, 크리스티 놈 국토안보부 장관 등의 반대에 부딪혀 방침을 바꾼 것으로 전해진다.김종훈 기자 ninachum24@mt.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