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투자망은 스타트업/벤처기업/자영업체 ↔ 투자자 간의 자율진행장터
전략적투자자(SI) 및 재무적투자자(FI)가 투자자로서 함께 참여합니다.

팝업닫기

[글쓴이 : 이경호 대전환경

페이지 정보

작성자 coajfieo 댓글 0건 조회 4회 작성일 25-06-23 16:42

본문

[글쓴이 : 이경호 대전환경운동연합 사무처장]2025년, 전 세계는 이미 기후위기를 실감하고 있다. 대형 산불과 극한 폭염, 유례없는 가뭄과 홍수가 일상이 되었고, '기후 재앙'이라는 말이 더 이상 과장이 아니다. 그러나 대한민국의 하늘 아래에서는 여전히 61기의 석탄발전소가 검은 연기를 내뿜고 있다.최근 환경운동연합이 공개한 '2025년 석탄 및 원자력발전소 현황 지도'는 한국의 에너지 현실을 여실히 보여준다. 충청남도, 경상남도, 강원도, 인천 등지에 석탄발전소가 집중되어 있으며, 일부는 1993년 준공된 보령 3·4·5호기, 삼천포 3호기 등 30년 넘게 가동 중인 노후 설비다.특히 충남은 '세계에서 석탄발전소 밀도가 가장 높은 지역 중 하나'라는 불명예까지 안고 있다. 전문가들은 이들 노후 설비가 국민 건강과 지역 생태계에 미치는 피해가 막대하다고 지적한다.세금으로 연명하는 노후 석탄발전소▲ 25년 석탄화력발전소 국내현황ⓒ 환경운동연합▲ 석탄화력발전소 국내 형황 및 LNG 전환계획ⓒ 환경운동연합 더 큰 문제는 이들 노후 발전소에 막대한 세금이 투입되고 있다는 점이다. 당진 1~4호기에는 3200억 원, 영흥 1·2호기에는 3409억 원이 환경설비 개선비로 들어갔다. 이는 2025년 정부의 재생에너지 보급 예산(1563억 원)의 두 배를 훌쩍 넘는다. 기후위기의 대안이어야 할 태양광과 풍력은 예산 배분에서 여전히 '조각' 수준에 머무르고 있다. 그 사이, 낡은 석탄발전소의 수명 연장을 위한 막대한 공공자금 지출은 계속되고 있다.정부는 석탄발전소 37기를 LNG 발전으로 전환하겠다는 계획을 내세우고 있다. 그러나 LNG는 전량 수입에 의존하며, 발전 과정에서 배출되는 온실가스량도 석탄에 크게 뒤지지 않는다. 2036년 기준 LNG 발전소의 평균 이용률은 11.3%로 예측되며, 낮은 효율성과 높은 고정비용 문제도 함께 지적된다. 이러한 전환은 기후위기 대응이라기보다 '회피'에 가깝다는 평가가 나온다.원전 확대는 기후 해법이 아니다▲ 원자력발정부의 건전 재정 기조 유지로 각 지자체들이 재정 악화 일로에 선 상황에서 '지방시대정책실'을 신설하며 적극 대응하는 곳이 있다. 바로 안동시다. 안동은 '사유'와 '통찰'의 정신 문화가 살아 있는 도시로 한국 정신 문화의 수도라 할 수 있다. 이런 안동시가 최근 대구시와 '물 협약'을 맺고 안동댐과 인하댐의 물을 공급하기로 약속했다. 더 나아가 물을 부산까지 보내는 방법도 고려 중이다. 최근 안동시는 안타깝게도 불길이 번지며 많은 피해를 입었다. 상상을 초월한 화재 피해로 주민들의 사기가 떨어진 상태다. 권기창 안동시장을 만나 미래와 희망이 필요한 안동시가 가고자 하는 방향을 들어본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