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투자망은 스타트업/벤처기업/자영업체 ↔ 투자자 간의 자율진행장터
전략적투자자(SI) 및 재무적투자자(FI)가 투자자로서 함께 참여합니다.

팝업닫기

[서평] 박대겸 소설 <외계인이 인류를 멸망시킨대>

페이지 정보

작성자 coajfieo 댓글 0건 조회 1회 작성일 25-06-22 23:25

본문

[서평] 박대겸 소설 <외계인이 인류를 멸망시킨대> [서평] 박대겸 소설 <외계인이 인류를 멸망시킨대>시민기자 북클럽 4기입니다. 꾸역꾸역은 '어떤 마음이 자꾸 생기거나 치미는 모양'을 뜻합니다. 책을 읽고 치미는 마음을 글로 잘 담겠습니다. <편집자말>'멸망'이라는 단어가 쓰였음에도 조금의 무거움도 느껴지지 않는, 마치 무슨 이벤트 소식이나 흥미로운 가십을 전하는 듯한 제목의 소설 <외계인이 인류를 멸망시킨대>(2025년 5월 출간)을 처음 접했을 때 영화 <돈 룩 업>이 떠올랐다. 2021년에 개봉한 아담 맥케이 감독의 이 블랙 코미디는 탈진실이 지배하는 현대 사회를 신랄하게 풍자한 작품이다.영화의 줄거리는 이렇다. 천문학과 대학원생인 케이트 디비아스키(제니퍼 로렌스 분)는 어느 날 지구로 다가오는 거대한 혜성을 발견한다. 충돌까지 남은 시간은 약 6개월. 담당 교수인 랜들 민디 박사(레오나르도 디카프리오 분)와 함께 이 소식을 급히 정부에 알리지만 대통령은 중간선거에만 신경 쓸 뿐 아무런 대책을 마련하지 않는다.종말이 시시각각 다가오는 상황에서, 정치인은 지지율을 위해, 언론은 시청률을 위해, 기업가는 이익을 위해 진실을 왜곡하고 이로 인해 국민들은 하늘을 보지 말라는 '돈 룩 업' 진영과 혜성의 위험성을 경고하는 '룩 업' 진영으로 나뉘어 서로 대립하게 된다.결국 대응할 기회를 놓쳐버리고 모두가 멸망을 맞는 결말을 보며 씁쓸한 여운이 남았었는데, 소설 <외계인이 인류를 멸망시킨대>는 비슷한 상황에서 어떻게 이야기를 풀어갈지 궁금한 마음이 들었다.외계인의 선전포고 ▲ <외계인이 인류를 멸망시킨대> 책 표지ⓒ 신정희"지구인들, 안녕. 내 이름은 셀타 드리온느. 우리는 지구에서 약 108만 광년 떨어진 더플칸리엡이라는 행성에서 왔어. (중략) 결론만 말하자면, 우리는 지구인들을 이용하기 위해 찾아왔다. 현재 우리가 수집한 자료에 따르면 지구에는 약 80억 명의 인간이 존재하고 있는데, 그중 0.0001퍼센트인 8천 명 정도만 남기고 나머지는 다 소멸시킬 예정이다. (중략) 당장 버튼을 누를 수도 있겠지만 특별히 자비를 베풀어 앞으로 일주일 정도의 시간을 줄 테니 남은 인생 잘 마무리하길 바란다." - 9쪽 ~ 11쪽어느 날 유튜[서평] 박대겸 소설 <외계인이 인류를 멸망시킨대>시민기자 북클럽 4기입니다. 꾸역꾸역은 '어떤 마음이 자꾸 생기거나 치미는 모양'을 뜻합니다. 책을 읽고 치미는 마음을 글로 잘 담겠습니다. <편집자말>'멸망'이라는 단어가 쓰였음에도 조금의 무거움도 느껴지지 않는, 마치 무슨 이벤트 소식이나 흥미로운 가십을 전하는 듯한 제목의 소설 <외계인이 인류를 멸망시킨대>(2025년 5월 출간)을 처음 접했을 때 영화 <돈 룩 업>이 떠올랐다. 2021년에 개봉한 아담 맥케이 감독의 이 블랙 코미디는 탈진실이 지배하는 현대 사회를 신랄하게 풍자한 작품이다.영화의 줄거리는 이렇다. 천문학과 대학원생인 케이트 디비아스키(제니퍼 로렌스 분)는 어느 날 지구로 다가오는 거대한 혜성을 발견한다. 충돌까지 남은 시간은 약 6개월. 담당 교수인 랜들 민디 박사(레오나르도 디카프리오 분)와 함께 이 소식을 급히 정부에 알리지만 대통령은 중간선거에만 신경 쓸 뿐 아무런 대책을 마련하지 않는다.종말이 시시각각 다가오는 상황에서, 정치인은 지지율을 위해, 언론은 시청률을 위해, 기업가는 이익을 위해 진실을 왜곡하고 이로 인해 국민들은 하늘을 보지 말라는 '돈 룩 업' 진영과 혜성의 위험성을 경고하는 '룩 업' 진영으로 나뉘어 서로 대립하게 된다.결국 대응할 기회를 놓쳐버리고 모두가 멸망을 맞는 결말을 보며 씁쓸한 여운이 남았었는데, 소설 <외계인이 인류를 멸망시킨대>는 비슷한 상황에서 어떻게 이야기를 풀어갈지 궁금한 마음이 들었다.외계인의 선전포고 ▲ <외계인이 인류를 멸망시킨대> 책 표지ⓒ 신정희"지구인들, 안녕. 내 이름은 셀타 드리온느. 우리는 지구에서 약 108만 광년 떨어진 더플칸리엡이라는 행성에서 왔어. (중략) 결론만 말하자면, 우리는 지구인들을 이용하기 위해 찾아왔다. 현재 우리가 수집한 자료에 따르면 지구에는 약 80억 명의 인간이 존재하고 있는데, 그중 0.0001퍼센트인 8천 명 정도만 남기고 나머지는 다 소멸시킬 예정이다. (중략) 당장 버튼을 누를 수도 있겠지만 특별히 자비를 베풀어 앞으로 일주일 정도의 시간을 줄 테니 남은 인 [서평] 박대겸 소설 <외계인이 인류를 멸망시킨대>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