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투자망은 스타트업/벤처기업/자영업체 ↔ 투자자 간의 자율진행장터
전략적투자자(SI) 및 재무적투자자(FI)가 투자자로서 함께 참여합니다.

팝업닫기

[아이뉴스24 이효정 기자] 지

페이지 정보

작성자 coajfieo 댓글 0건 조회 5회 작성일 25-06-20 00:49

본문

[아이뉴스24 이효정 기자] 지난 18일 오후 찾아간 서울 강남구 압구정동의 압구정2구역은 조용하기만 했다. 이제 막 시공사 선정을 위한 입찰 공고가 나온 터라 단지 내에는 아직 건설사들이 내걸은 현수막 하나 쉽게 발견하기 어려웠다. 입찰 공고가 나오기 전부터 삼성물산 건설부문과 현대건설이 치열하게 경쟁하고 있는 사업장인 점을 고려하면 본격적인 경쟁을 앞두고 폭풍전야나 다름없어 보였다. 압구정2구역 전경. 2025.06.18 [사진=이효정 기자 ] 19일 정비업계에 따르면 압구정2구역재건축조합은 지난 18일 시공사 선정을 위한 입찰 공고를 내며 본격적으로 시공사 찾기에 돌입했다. 오는 26일 건설사들을 대상으로 현장설명회를 실시하고 8월 11일 입찰서 접수를 마감한다.서울 강남구 압구정동의 압구정2구역(신현대 9·11·12차 아파트)은 현재 1924가구 규모의 단지를 지하 5층~지상 최고 65층 14개동 2571가구로 재건축하는 사업이다.3.3㎡당 공사비가 1150만원(VAT별도)으로 총 공사비는 2조7488억원에 달한다. 한강을 두고 마주보는 한남4구역은 올해 초 시공사 선정 당시 3.3㎡당 공사비가 940만원이었다. 서초구 반포주공1단지 1·2·4주구를 재건축하는 '반포디에이치클래스트' 공사비는 지난해 증액돼 3.3㎡당 793만원이었다. 압구정2구역 전경 2025.06.18 [사진=이효정 기자 ] 입찰보증금 '현금 1000억원'⋯왜?이처럼 높은 공사비에 압구정2구역 재건축조합은 입찰보증금을 1000억원으로 높은 수준으로 결정했다. 입찰보증금은 입찰제안서 접수 전까지 전액 현금으로 납부해야 한다.지난 2021년 이촌동 한강맨션 재건축 조합이 시공사 선정 당시 1000억원의 입찰보증금을 제시했을 때 화제를 모으기도 했다. 높은 입찰보증금은 건설사의 부담으로 작용하기 때문이다. 한남4구역의 경우 시공사 선정 당시 입찰보증금이 현금 500억원이었고, 이날 시공사 입찰을 마감한 개포우성7차 재건축사업의 경우 현금 지난 2023년 미호천 제방 유실로 침수된 충북 청주시 오송읍 궁평2지하차도를 방문했던 이재명 대통령(당시 더불어민주당 대표) ⓒ News1 박세연 기자 (서울=뉴스1) 황덕현 기후환경전문기자 = 환경부가 기후 위기 대응과 도시침수 예방, 기존 사업의 적기 준공을 위해 올해 제2회 추가경정예산안에 총 2437억 원의 시설투자를 확대하고 5473억 원은 감액했다.환경부는 19일 국무회의를 거쳐 2025년도 제2회 새 정부 추경안을 마련했다고 밝혔다. 이번 추경은 하수처리장과 폐기물처리시설, 국가하천 정비, 수문조사시설 개선 등 9개 사업을 중심으로 증액이 이뤄졌으며, 반면 무공해차 보급과 충전 인프라 구축 등은 사업 집행 여건을 고려해 감액 편성됐다.가장 많은 예산이 추가된 분야는 하수처리장, 하수관로, 폐수처리시설, 공업용수도 등 물 관련 사회기반시설로, 총 954억 원이 반영됐다. 이 가운데 하수처리장 설치에 575억 6000만 원, 하수관로 정비에 70억 원, 공공폐수처리시설에 57억 8000만 원, 공업용수도 안정화에 71억 원이 포함됐다. 수문조사시설 개선에도 150억 원이 편성돼 수위관측소 50곳이 신설될 예정이다.이는 인공지능을 활용한 홍수예보 정밀도를 높이기 위한 조치다. 공업용수도 사업은 국가산업단지 2개소에 노후관을 개량해 안정적 용수공급을 확보하는 것이 목적이다. 공공폐수처리시설 사업은 폐수처리 용량 확보가 시급한 산업단지 2개소를 대상으로 지원이 확대된다.이외에도 비점오염 저감 사업 180억 1000만 원, 국립공원·지질공원 조성 304억 4000만 원, 국가하천 정비 418억 원 등이 포함돼 홍수 예방, 생태계 기반 조성, 기후 위기 적응을 위한 기반 정비가 이뤄질 계획이다.반면 무공해차 보급 사업은 4672억 5000만 원, 충전 인프라 구축 사업은 630억 원이 각각 감액됐다. 전기차 '캐즘'(Chasm, 수요 정체·후퇴)을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이밖에 스마트하수도 관리체계 구축 100억 원, 하수처리수 재이용 사업 70억 원 등 일부 계속사업도 집행 가능성을 반영해 조정됐다.이번 추경은 이재명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