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투자망은 스타트업/벤처기업/자영업체 ↔ 투자자 간의 자율진행장터
전략적투자자(SI) 및 재무적투자자(FI)가 투자자로서 함께 참여합니다.

팝업닫기

더스쿠프 Seek한 분석 토종 OTT 티빙+

페이지 정보

작성자 coajfieo 댓글 0건 조회 2회 작성일 25-06-16 07:03

본문

더스쿠프 Seek한 분석 토종 OTT 티빙+웨이브 M&A공정거래위 허가로 본격 시동MAU 합치면 넷플릭스급 몸집콘텐츠도 넷플릭스급일까 의문공정거래위원회가 최근 티빙과 웨이브의 인수·합병(M&A)을 승인했다. 주주 승인 등 절차가 남아 있긴 하지만 두 토종 OTT의 결합은 기정사실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관건은 '티빙+웨이브'란 통합 OTT가 넷플릭스와 자웅을 겨룰 수 있느냐다. 가입자 등 몸집은 결코 밀리지 않는다. 다만, '오리지널 콘텐츠'를 만드는 능력은 차이가 크다는 분석이 나온다.티빙과 웨이브의 M&A에 본격적인 시동이 걸렸다.[일러스트 | 게티이미지뱅크·더스쿠프 포토]국내 OTT 시장의 판도에 '변화의 물결'이 일고 있다. 공정거래위원회(이하 공정위)가 지난 10일 티빙과 웨이브의 M&A를승인했다고 밝히면서다. 대신, 공정위는 몇가지 조건을 내걸었다. ▲오는 2026년 12월까지 티빙과 웨이브가 현행 요금제를 유지할 것, ▲통합 서비스의 요금제도 기존 가격 수준을 유지할 것, ▲통합 서비스 론칭 시 기존 가입자가 1개월 내 재가입해도 기존의 요금제를 유지할 수 있어야 할 것 등이다. 이는 티빙·웨이브가 합병했을 때의 시장지배적 파급력을 우려한 조치로 풀이된다.수년간 말만 무성했던 티빙·웨이브 M&A에 본격적인 시동이 걸린 셈인데, 공정위 허가가 떨어졌다고 해서 당장 큰 변화가 일어나는 건 아니다. 티빙 관계자는 "주주 승인 등 절차가 많이 남아 있어 실질적인 합병 전까지는 시간이 걸린다"면서 "티빙과 웨이브의 콘텐츠를 통합하는 서비스부터 준비 중이다"고 말했다.■ 합치면 얼마나 커질까=티빙과 웨이브가 합병했을 때의 파급력은 무시할 수 없는 수준이다. 데이터 분석 솔루션 모바일인덱스에 따르면, 지난 5월 기준 티빙과 웨이브의 월간활성화사용자(MAU)는 각각 715만8800명, 412만5283명이었다. 중복 사용자를 고려하지 않은 단순 계산이긴 하지만, 두 서비스의 MAU를 더하면 총 1128만4083명으로 규모 면에선 업계 1위인 넷플릭스(1450만5305명)에 크게 밀리지 않는다.관건은 외적 성장 외에 '질적 성장'도 꾀할 수 있느냐다. OTT의 핵심 경쟁력은 뭐니뭐니 해도 '오리지널 콘텐츠'다. 자사 OTT에서만 볼 수 있는 인기 콘텐츠가 많아야 이용자를 끌어모을 수 있다. 이를 가장 잘 보여주는 곳이 넷플릭스다. 지난 3월 넷플릭스의 오리지널 드라마 '폭싹 속았수다'가 역대급 흥행 돌풍을 일으키면서 넷플릭스 MAU는 2월 1345만1922명에서 5월 1450만5305명으로 3개월 새더스쿠프 Seek한 분석 토종 OTT 티빙+웨이브 M&A공정거래위 허가로 본격 시동MAU 합치면 넷플릭스급 몸집콘텐츠도 넷플릭스급일까 의문공정거래위원회가 최근 티빙과 웨이브의 인수·합병(M&A)을 승인했다. 주주 승인 등 절차가 남아 있긴 하지만 두 토종 OTT의 결합은 기정사실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관건은 '티빙+웨이브'란 통합 OTT가 넷플릭스와 자웅을 겨룰 수 있느냐다. 가입자 등 몸집은 결코 밀리지 않는다. 다만, '오리지널 콘텐츠'를 만드는 능력은 차이가 크다는 분석이 나온다.티빙과 웨이브의 M&A에 본격적인 시동이 걸렸다.[일러스트 | 게티이미지뱅크·더스쿠프 포토]국내 OTT 시장의 판도에 '변화의 물결'이 일고 있다. 공정거래위원회(이하 공정위)가 지난 10일 티빙과 웨이브의 M&A를승인했다고 밝히면서다. 대신, 공정위는 몇가지 조건을 내걸었다. ▲오는 2026년 12월까지 티빙과 웨이브가 현행 요금제를 유지할 것, ▲통합 서비스의 요금제도 기존 가격 수준을 유지할 것, ▲통합 서비스 론칭 시 기존 가입자가 1개월 내 재가입해도 기존의 요금제를 유지할 수 있어야 할 것 등이다. 이는 티빙·웨이브가 합병했을 때의 시장지배적 파급력을 우려한 조치로 풀이된다.수년간 말만 무성했던 티빙·웨이브 M&A에 본격적인 시동이 걸린 셈인데, 공정위 허가가 떨어졌다고 해서 당장 큰 변화가 일어나는 건 아니다. 티빙 관계자는 "주주 승인 등 절차가 많이 남아 있어 실질적인 합병 전까지는 시간이 걸린다"면서 "티빙과 웨이브의 콘텐츠를 통합하는 서비스부터 준비 중이다"고 말했다.■ 합치면 얼마나 커질까=티빙과 웨이브가 합병했을 때의 파급력은 무시할 수 없는 수준이다. 데이터 분석 솔루션 모바일인덱스에 따르면, 지난 5월 기준 티빙과 웨이브의 월간활성화사용자(MAU)는 각각 715만8800명, 412만5283명이었다. 중복 사용자를 고려하지 않은 단순 계산이긴 하지만, 두 서비스의 MAU를 더하면 총 1128만4083명으로 규모 면에선 업계 1위인 넷플릭스(1450만5305명)에 크게 밀리지 않는다.관건은 외적 성장 외에 '질적 성장'도 꾀할 수 있느냐다. OTT의 핵심 경쟁력은 뭐니뭐니 해도 '오리지널 콘텐츠'다. 자사 OTT에서만 볼 수 있는 인기 콘텐츠가 많아야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