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현재 살고 있는 자본
페이지 정보
작성자 coajfieo 댓글 0건 조회 2회 작성일 25-05-26 15:23본문
우리가 현재 살고 있는 자본주의 사회가 큰 틀에서 이렇게 움직인다고 생각하니 제가 할 수 있는 일이 많이 없음에 스스로 나약해지고, 답답함이 느껴지는 것이 사실입니다.이 책은 5개의 챕터로 구성되어 있으며 아래와 같습니다.돈은 '빚'이다. 은행이 돈을 만들어 내기 위해서는 '대출'이라는 과정을 거쳐야 한다. 즉, 돈은 '빚'이라는 형태가 되어 많은 사람들에게 나누어진다. 누군가 빚을 지는 사람이 있어야 자본주의는 정상적으로 작동한다는 말과 같다. 그리고 그 '빚'에 대한 이자를 받아 은행은 수익을 챙긴다. '빚'이 없으면 은행도 없다.1년 6개월이라는 제작 기간이 말해주듯이 다큐프라임과 책의 깊이가 상당히 깊으며 세계 최고의 석학들이 이야기해 주는 '돈에 관한 진실', '자본주의의 비밀'을 이 책은 낱낱이 밝혀주고 있습니다.생각의 힘이 의미 있는 변화를 만듭니다.왜냐하면 이제껏 누렸던 호황이라는 것이 진정한 돈이 아닌 빚으로 쌓아 올린 것이기 때문이다. 돈이 계속해서 늘어나기는 하지만, 그것은 일해서 만들어낸 돈이 아니다. 돈이 돈을 낳고, 그 돈이 또다시 돈을 낳으면서 자본주의 경제는 인플레이션으로의 정해진 길을 걷고, 그것이 최고점에 이르렀을 때 다시 디플레이션이라는 절망을 만나게 된다. 이것은 자본주의가 가지고 있는 부인할 수 없는 '숙명'이다.자본주의 목차정말 자본주의의 민낯이 무섭지 않으신가요? 전 이 부분을 읽었을 때 평범한 사람들의 자산증식에 대한 한계성을 느낄 수 있었습니다. 또한 왜 우리가 매년 물가 상승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있는지 정확히 깨달을 수 있었습니다.여기에 외부와 전혀 소통을 하지 않는 단일한 통화체계를 가지고 있는 한 섬이 있다고 가정해 보자. 중앙은행 A는 딱 1만 원을 발행했고, 시민 B는 그 돈을 빌린 후 1년 후에 이자까지 합쳐서 1만 500원의 돈을 갚아야 한다고 해보자. 시민 B는 또 다를 시민 C에게 배를 구입한 뒤 그 배로 열심히 물고기를 잡아서 돈을 벌었다고 해보자. 그렇다면 과연 시민 B는 1년 뒤에 1만 500원을 중앙은행에 갚을 수 있을까? 정답은 '절대로 갚을 수 없다'이다. 왜냐하면 섬에 있는 돈은 딱 1만 원일뿐, 이자로 내야 하는 돈 500원은 그 어느 곳에도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다.지급준비율이 낮을수록 은행에는 더 적은 돈만이 남겨지게 되고 은행은 더 많은 돈을 불릴 수 있습니다. 자본주의의 이러한 원리 정말 무섭지 않으신가요?그리고 인플레이션 후에는 디플레이션이 오는 것은 숙명이라고 결론짓습니다.지식이란 측면에서도 많은 것을 배었지만 책의 내용에 진정성이 녹아있어 더 가슴 깊이 들어왔던 것 같습니다.그러나 아래를 읽고 나니 작가의 이야기가 사실임을 선명하게 느낄 수 있었습니다.'호황의 끝에는 불황이 있다' 내용 발췌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즐거운 하루 보내세요^^빚이라는 게 얼마나 무서운 것인지, 그리고 자본주의가 생존하기 위해 빚을 내는 사회가 되어야 함이 매우 충격적이고 배신감까지 느끼게 합니다.3. 나도 모르게 지갑이 털리는 소비 마케팅의 비밀EBS에서 집필한 자본주의 책은 챕터 1뿐만 아니라 나머지 챕터도 훌륭합니다. 그러나 꼭 챕터 1만큼은 반드시 읽어보셨으면 좋겠습니다.자본주의는 분명 자유로운 경쟁이 나은 미래를 불러온다고 가르쳐 왔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실상에 지금까지의 제 믿음도 흔들리기 시작합니다.빚은 '선(善)'이다. 빚이 없으면 자본주의가 정상적으로 작동되지 않기 때문이다. 즉, 자본주의 입장에서 '빚이 없는 사람'은 나쁜 사람이고 도움이 되지 않는 사람이다. 빚이 있는 사람은 착하고 도움을 주는 사람이다. 그래서 오늘날 자본주의 사회는 '빚 권하는 사회'이다. 빚이 없으면 새로운 돈이 더 이상 창조되지 않고, 돈이 창조되지 않으면 자본주의도 망가지기 때문이다.챕터를 들어가기 전 빚 권하는 사회라는 의미를 이제 정확하게 알게 되었습니다. 지금까지 빚에 대해서 단순하게 레버리지로만 생각했던 제 자신의 짧은 생각에 대해 반성하게 됩니다.이런 자본주의의 한계적인 구조가 우리의 삶을 더욱더 힘들게 만들고 있음에 분노가 차오르기도 했습니다.현재 우리는 이렇게 만들어진 돈을 소비하고 있습니다.'제5장 복지 자본주의를 다시 생각한다' 내용 발췌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