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나는 왜 아무것도 하기 싫을까 / 배종빈정신
페이지 정보
작성자 coajfieo 댓글 0건 조회 2회 작성일 25-05-25 19:09본문
■ 나는 왜 아무것도 하기 싫을까 / 배종빈정신과 전문의가 직접 겪은 ‘무기력’ 분석스트레스 늘면 뇌 편도체 ‘회피’ 신호 보내중독 행위 번거롭게 만들면 ‘탈중독’ 도움무기력, 고장 아닌 ‘변화 필요하다’ 신호만성적인 스트레스는 무기력한 상황을 만든다. 상황을 회피하기 위한 중독은 더 큰 어려움을 야기할 수 있다.어느 날 문득 아무것도 하기 싫어진다. 해야 할 일들이 잔뜩 쌓여 있지만 손에 잡히지 않는다. 익숙한 일들이 어느 순간 버거워졌다. 어쩔 수 없이 해야 하기에 마지못해하지만, 마음은 불안정하다. 미룰 수 있는 일들은 나중으로 미뤘다. 그 미뤘던 일들이 더 급한 일이 되어 돌아오기도 한다. 왜 이렇게 무기력하고 게을러졌는지 자책한다. 유튜브 영상을 보거나 게임을 하면 잠시 기운이 나는 듯했지만, 일상으로 돌아오면 더 큰 무기력이 짓누른다.“내 이야기 같은데”라고 생각할 사람이 많을 것 같다. 서울대 의대에서 석박사 과정을 수료하고 서울대병원을 비롯해 여타 병원에서 오랜 임상경험을 쌓은 배종빈 정신과 전문의. 그가 출간한 〈나는 왜 아무것도 하기 싫을까〉에서 밝힌 자신의 경험담이다. 아무것도 하기 싫다고 호소하는 환자를 자주 만났지만, 저자는 자신이 무기력을 겪기 전까지 그 고통을 제대로 이해할 수 없었다고 말한다.환자들에게 의지나 게으름의 문제가 아니라고 진심 어린 위로를 보냈지만, 그들은 잘 낫지 않았다. 다른 무언가가 필요하다는 걸 깨닫고, 뇌과학 정신과학 심리학 연구를 통해 저자는 실제로 생활을 변화시킬 수 있는 다양한 접근법을 알게 되었다. 이 책은 그 경험과 통찰을 나누고 싶어 쓴 글이다.책은 4장으로 구성돼 있다. 1장은 무기력의 원인을 파헤친다. 뇌과학적으로 인간이 문제를 외면하는 이유는 그 행동이 이익이라고 판단하기 때문이다. 뇌 속 편도체는 불안과 공포를 담당하는 부위로, 스트레스가 많은 상황을 피하는 것이 더 안전하다는 신호를 보낸다. 불편한 감정이 줄어들면 뇌는 문제를 피하는 것이 보상받을 만한 행동이라고 학습하고 점점 더 문제를 외면하는 습관이 형성된다는 것이다.그렇다면 무엇이 편도체의 멈춤 신호를 강하게 만들까. 대표적인 원인은 만성적인 스트레스이다. 저자는 통제할 수 없는 상황과 감정 조절로 생기는 스트레스를 설■ 나는 왜 아무것도 하기 싫을까 / 배종빈정신과 전문의가 직접 겪은 ‘무기력’ 분석스트레스 늘면 뇌 편도체 ‘회피’ 신호 보내중독 행위 번거롭게 만들면 ‘탈중독’ 도움무기력, 고장 아닌 ‘변화 필요하다’ 신호만성적인 스트레스는 무기력한 상황을 만든다. 상황을 회피하기 위한 중독은 더 큰 어려움을 야기할 수 있다.어느 날 문득 아무것도 하기 싫어진다. 해야 할 일들이 잔뜩 쌓여 있지만 손에 잡히지 않는다. 익숙한 일들이 어느 순간 버거워졌다. 어쩔 수 없이 해야 하기에 마지못해하지만, 마음은 불안정하다. 미룰 수 있는 일들은 나중으로 미뤘다. 그 미뤘던 일들이 더 급한 일이 되어 돌아오기도 한다. 왜 이렇게 무기력하고 게을러졌는지 자책한다. 유튜브 영상을 보거나 게임을 하면 잠시 기운이 나는 듯했지만, 일상으로 돌아오면 더 큰 무기력이 짓누른다.“내 이야기 같은데”라고 생각할 사람이 많을 것 같다. 서울대 의대에서 석박사 과정을 수료하고 서울대병원을 비롯해 여타 병원에서 오랜 임상경험을 쌓은 배종빈 정신과 전문의. 그가 출간한 〈나는 왜 아무것도 하기 싫을까〉에서 밝힌 자신의 경험담이다. 아무것도 하기 싫다고 호소하는 환자를 자주 만났지만, 저자는 자신이 무기력을 겪기 전까지 그 고통을 제대로 이해할 수 없었다고 말한다.환자들에게 의지나 게으름의 문제가 아니라고 진심 어린 위로를 보냈지만, 그들은 잘 낫지 않았다. 다른 무언가가 필요하다는 걸 깨닫고, 뇌과학 정신과학 심리학 연구를 통해 저자는 실제로 생활을 변화시킬 수 있는 다양한 접근법을 알게 되었다. 이 책은 그 경험과 통찰을 나누고 싶어 쓴 글이다.책은 4장으로 구성돼 있다. 1장은 무기력의 원인을 파헤친다. 뇌과학적으로 인간이 문제를 외면하는 이유는 그 행동이 이익이라고 판단하기 때문이다. 뇌 속 편도체는 불안과 공포를 담당하는 부위로, 스트레스가 많은 상황을 피하는 것이 더 안전하다는 신호를 보낸다. 불편한 감정이 줄어들면 뇌는 문제를 피하는 것이 보상받을 만한 행동이라고 학습하고 점점 더 문제를 외면하는 습관이 형성된다는 것이다.그렇다면 무엇이 편도체의 멈춤 신호를 강하게 만들까. 대표적인 원인은 만성적인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