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투자망은 스타트업/벤처기업/자영업체 ↔ 투자자 간의 자율진행장터
전략적투자자(SI) 및 재무적투자자(FI)가 투자자로서 함께 참여합니다.

팝업닫기

19일 부산콘서트홀서 기자간담

페이지 정보

작성자 coajfieo 댓글 0건 조회 2회 작성일 25-05-20 16:14

본문

19일 부산콘서트홀서 기자간담회라스칼라 음악감독 선임 소감 밝혀“실력 좋아도 안 통하면 동행 힘들어”클래식부산, 라스칼라와 협업 기대지휘자 정명훈이 지난 19일 부산콘서트홀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취재진의 질문을 듣고 있다. [부산콘서트홀 제공]“36년간 사랑스럽게 지낸 제일 친한 친구들이었는데, 이젠 결혼해 가족이 됐어요(웃음).”‘오페라 종가’ 라스칼라 247년 역사상 첫 아시아인 음악감독이 된 정명훈은 지난 19일 개관을 앞둔 부산콘서트홀에서 기자들과 만났다. 그는 “여덟 살에 건너가 외국에서 일평생 생활해 왔기에 ‘아시아인 최초’라는 말이 내게 특별히 의미 있는 일이라고 생각하진 않는다”면서도 “외국인은 다른 나라에 가면 그 나라 사람보다도 잘해야 한다고 생각으로 열심히 해왔다. 나라를 빛낼 기회라 생각한다”고 말했다.정명훈은 2015년 라디오 프랑스필 오케스트라를 떠날 때부터 공식 석상에서 60대 이후엔 오케스트라나 극장 등을 책임지는 자리(음악감독)는 맡지 않겠다고 공언해 왔다.그는 이에 대해 “어떤 유명 오케스트라에 초대받아도 책임을 맡기엔 ‘너무 늦었다’며 거절했는데, 라스칼라만큼은 ‘노(No)’라고 할 수 없었다”고 돌아봤다. 정명훈이 라스칼라의 제안을 받아들인 것은 바로 ‘좋은 동료들’ 때문이다. 포르투나토 오르톰비나 라 스칼라 극장 대표는 정명훈과 오랜 인연을 맺으며 “가장 편하게 일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주는 사람으로 캐스팅부터 리허설까지 모든 책임을 맡아줘 음악에만 전념할 수 있게 해준다”고 했다. 단원들도 특별하다.보통의 오케스트라에사는 예술가이기 전에 직장인인 단원들은 출퇴근 시간은 물론 근무시간을 철저히 지키는 것으로 유명하다. 특히 외국 오케스트라는 ‘시간이 돈’이라는 입장이 분명하다고 정 감독은 설명한다. 라스칼라 단원들은 그러나 하루에 두 번 하는 리허설을 세 번까지 이어가며 음악에 열정을 보인다.정 감독은 “이젠 아무리 잘하는 악단이라 해도 서로 통하는 것이 없고, 이해할 수 있는 부분이 없다면 함께 하기가 싫어진다”며 “라스칼라는 지금까지 나의 제일 좋은 친구들이었는데, 이젠 가족으로의 책임도 안게 됐다”고 말했다. 그간 정명훈이 맺어온 라스칼라와 관계 역시 각별하다. 정명훈은 1989년부터 이곳에서 총 9편의 오페라를 84회 공연했고, 총 140회가 넘는 콘서트를 지휘했다. 비(非) 음악감독으로는 가장 많은 숫자다. 라 스칼라는 정명훈을 “베르디의 대표적인 해석가”라고 했다. 내년 12월 예정된 19일 부산콘서트홀서 기자간담회라스칼라 음악감독 선임 소감 밝혀“실력 좋아도 안 통하면 동행 힘들어”클래식부산, 라스칼라와 협업 기대지휘자 정명훈이 지난 19일 부산콘서트홀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취재진의 질문을 듣고 있다. [부산콘서트홀 제공]“36년간 사랑스럽게 지낸 제일 친한 친구들이었는데, 이젠 결혼해 가족이 됐어요(웃음).”‘오페라 종가’ 라스칼라 247년 역사상 첫 아시아인 음악감독이 된 정명훈은 지난 19일 개관을 앞둔 부산콘서트홀에서 기자들과 만났다. 그는 “여덟 살에 건너가 외국에서 일평생 생활해 왔기에 ‘아시아인 최초’라는 말이 내게 특별히 의미 있는 일이라고 생각하진 않는다”면서도 “외국인은 다른 나라에 가면 그 나라 사람보다도 잘해야 한다고 생각으로 열심히 해왔다. 나라를 빛낼 기회라 생각한다”고 말했다.정명훈은 2015년 라디오 프랑스필 오케스트라를 떠날 때부터 공식 석상에서 60대 이후엔 오케스트라나 극장 등을 책임지는 자리(음악감독)는 맡지 않겠다고 공언해 왔다.그는 이에 대해 “어떤 유명 오케스트라에 초대받아도 책임을 맡기엔 ‘너무 늦었다’며 거절했는데, 라스칼라만큼은 ‘노(No)’라고 할 수 없었다”고 돌아봤다. 정명훈이 라스칼라의 제안을 받아들인 것은 바로 ‘좋은 동료들’ 때문이다. 포르투나토 오르톰비나 라 스칼라 극장 대표는 정명훈과 오랜 인연을 맺으며 “가장 편하게 일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주는 사람으로 캐스팅부터 리허설까지 모든 책임을 맡아줘 음악에만 전념할 수 있게 해준다”고 했다. 단원들도 특별하다.보통의 오케스트라에사는 예술가이기 전에 직장인인 단원들은 출퇴근 시간은 물론 근무시간을 철저히 지키는 것으로 유명하다. 특히 외국 오케스트라는 ‘시간이 돈’이라는 입장이 분명하다고 정 감독은 설명한다. 라스칼라 단원들은 그러나 하루에 두 번 하는 리허설을 세 번까지 이어가며 음악에 열정을 보인다.정 감독은 “이젠 아무리 잘하는 악단이라 해도 서로 통하는 것이 없고, 이해할 수 있는 부분이 없다면 함께 하기가 싫어진다”며 “라스칼라는 지금까지 나의 제일 좋은 친구들이었는데, 이젠 가족으로의 책임도 안게 됐다”고 말했다. 그간 정명훈이 맺어온 라스칼라와 관계 역시 각별하다. 정명훈은 1989년부터 이곳에서 총 9편의 오페라를 84회 공연했고, 총 140회가 넘는 콘서트를 지휘했다. 비(非) 음악감독으로는 가장 많은 숫자다. 라 스칼라는 정명훈을 “베르디의 대표적인 해석가”라고 했다. 내년 12월 예정된 취임 연주회에서도 그는 베르디의 ‘오텔로’를 올릴 예정이다. 베르디가 1887년 작곡해 라스칼라에서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