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릴 라마포사 남아프리카공화
페이지 정보
작성자 coajfieo 댓글 0건 조회 1회 작성일 25-05-20 10:30본문
시릴 라마포사 남아프리카공화국 대통령이 트럼프 미국 대통령 취임 이후 악화일로로 치달은 미국과의 관계 개선을 위해 현지시각으로 19일 미국 실무 방문길에 올랐습니다. 남아공 대통령실은 지난 14일 라마포사의 19∼22일 방미 일정을 공표하며 "양국 사이의 전략적 관계를 재정립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트럼프는 역사적 불평등을 시정하기 위한 토지 수용법을 백인 차별 정책이라고 비판했고, 백인 농부가 박해와 살해를 당하고 있다고 주장하며 남아공을 잇달아 질타했습니다. 그러면서 남아공에 대한 원조를 중단하는 행정명령을 발동했고 3월에는 주미 남아공 대사를 '외교적 기피 인물'(페르소나 논 그라타)로 지정하고 추방했습니다. 이어 90일간 유예되기는 했지만 지난달 초 남아공에 비교적 고율인 30%의 상호 관세를 발표했습니다. 또 난민 수용을 중단한 가운데 지난 12일엔 유일한 예외로 남아공 아프리카너(Afrikaners·17세기 남아공에 이주한 네덜란드 정착민 후손) 백인 49명의 정착을 받아주기도 했습니다. 이런 트럼프의 공세에 대해 남아공 정부는 대부분 '잘못된 정보를 토대로 한 오해에서 비롯됐다'는 입장입니다. 이에 라마포사는 오는 21일로 예정된 트럼프와의 백악관 회동 등을 기회로 이를 바로잡아 오해를 풀겠다는 입장입니다. 토지 수용법의 경우, 공익적 무상 수용이더라도 투기 목적 보유 등 특정 조건을 충족하고 소유주와 합의해야 가능하며 백인의 토지를 일방적으로 뺐을 수 없다는 점을 강조할 전망입니다. 백인 농부가 집단 학살 위험에 처했다는 주장엔 남아공에 만연한 살인 사건 피해자의 대다수가 흑인 남성이라는 통계 자료를 근거로 피해자에 일부 백인이 포함됐다고 해명할 것으로 보입니다. 빈센트 마궤니아 남아공 대통령실 대변인은 "라마포사가 트럼프에게 남아공의 백인 집단 학살 주장은 명백히 거짓이라고 강조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다만 이스라엘의 국제사법재판소(ICJ) 제소와 같이 의견이 확연하게 엇갈리는 쟁점은 최대한 부각하지 않을 것이라는 관측에 무게가 실립니다. 마궤니아는 "생각이 다른 현안도 충분히 논의할 수는 있다"면서도 " [모스크바=AP/뉴시스]낫과 망치가 부조된 러시아 모스크바의 국가두마(하원) 지붕에 2019년 3월3일 러시아 국기가 펄럭이고 있다. 러시아 당국은 19일 인권단체 국제사면위원회를 "바람직하지 않은 조직"으로 불법화했다. 러시아는 2015년 제정한 법에 따라 바람직하지 않은 조직에 연루되는 것을 형사 범죄로 규정하고 있다. 2025.05.19.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