金 “다른 당이라 생각 안 해” 李
페이지 정보
작성자 coajfieo 댓글 0건 조회 3회 작성일 25-05-19 21:28본문
金 “다른 당이라 생각 안 해” 李 “논의 자체 관심 없어”…현재는 평행선‘지지율’ ‘尹 관계 설정’ 등 영향 미칠 듯…24일 1차 마지노선 관측도[이데일리 박지애 기자] ‘6·3 대선’이 보름 앞으로 다가온 19일 국민의힘 김문수 대선 후보와 개혁신당 이준석 후보의 단일화 여부에 관심이 증폭되고 있다.국민의힘 김문수 대선후보와 개혁신당 이준석 대선후보가 19일 서울 중구 서울시청에서 열린 ‘약자와 동행하는 서울 토론회’에 참석해 내빈들과 인사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단일화에 적극적인 김 후보와 단호하게 선을 긋는 이 후보가 여전히 평행선을 달리고 있지만 극적으로 범(汎)보수 통합이 이뤄질 경우 역전의 발판을 마련할 수 있다는 보수 진영의 기대감 때문이다.특히 김 후보의 지지율이 본후보 등록 후 꾸준히 상승 곡선을 그리고 있다는 점에서 해볼 만한 승부라는 관측도 있다. 여기에 김 후보가 ‘6070 세대’에서 강세를 보이는 반면, 이 후보는 ‘2030 세대’를 중심으로 지지층을 확보해 양 후보의 단일화가 시너지 효과를 발휘할 것이라는 기대 섞인 분석도 나온다. 김 후보는 이날 오세훈 서울시장이 주재한 토론회에 참석해 이 후보를 향해 “우리 당이 그동안 잘못했다”고 한 데 이어 기자들에게 “지금도 다른 후보, 다른 당이라 생각하지 않는다. 같은 생각과 정책인데, 우리 당이 조금 잘못한 점이 있어서 헤어졌으나 하나도 멀지 않다”고 말했다.반면, 같은 행사에 참석한 이 후보는 단일화에 대한 기자들의 질문에 “김 후보의 진정성과 보수 진영을 규합해 선거를 치러보려는 선의는 의심 안 하지만 이길 수 있는 방식이 아니다”라며 “단일화 논의 자체에 관심이 없다”고 답했다.이런 상황에서 단일화가 동력을 받기 위해서는 두 후보의 지지율이 변수가 될 것으로 보인다. 최근 각종 여론조사에서 30%대를 유지 중인 김 후보가 40%대에는 안착해야 이 후보의 지지율과 합쳐 산술적으로 역전이 가능하기 때문이다.동시에 이 후보의 경우 10%대에 올라서지 못한다면 제3 후보로서의 한계를 노출하는 동시에 선거비용을 보전받을 수 없게 된다. 단일화에 대한 입장이 바뀔 수도 있다는 주장의 근거다.국민의힘 관계자金 “다른 당이라 생각 안 해” 李 “논의 자체 관심 없어”…현재는 평행선‘지지율’ ‘尹 관계 설정’ 등 영향 미칠 듯…24일 1차 마지노선 관측도[이데일리 박지애 기자] ‘6·3 대선’이 보름 앞으로 다가온 19일 국민의힘 김문수 대선 후보와 개혁신당 이준석 후보의 단일화 여부에 관심이 증폭되고 있다.국민의힘 김문수 대선후보와 개혁신당 이준석 대선후보가 19일 서울 중구 서울시청에서 열린 ‘약자와 동행하는 서울 토론회’에 참석해 내빈들과 인사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단일화에 적극적인 김 후보와 단호하게 선을 긋는 이 후보가 여전히 평행선을 달리고 있지만 극적으로 범(汎)보수 통합이 이뤄질 경우 역전의 발판을 마련할 수 있다는 보수 진영의 기대감 때문이다.특히 김 후보의 지지율이 본후보 등록 후 꾸준히 상승 곡선을 그리고 있다는 점에서 해볼 만한 승부라는 관측도 있다. 여기에 김 후보가 ‘6070 세대’에서 강세를 보이는 반면, 이 후보는 ‘2030 세대’를 중심으로 지지층을 확보해 양 후보의 단일화가 시너지 효과를 발휘할 것이라는 기대 섞인 분석도 나온다. 김 후보는 이날 오세훈 서울시장이 주재한 토론회에 참석해 이 후보를 향해 “우리 당이 그동안 잘못했다”고 한 데 이어 기자들에게 “지금도 다른 후보, 다른 당이라 생각하지 않는다. 같은 생각과 정책인데, 우리 당이 조금 잘못한 점이 있어서 헤어졌으나 하나도 멀지 않다”고 말했다.반면, 같은 행사에 참석한 이 후보는 단일화에 대한 기자들의 질문에 “김 후보의 진정성과 보수 진영을 규합해 선거를 치러보려는 선의는 의심 안 하지만 이길 수 있는 방식이 아니다”라며 “단일화 논의 자체에 관심이 없다”고 답했다.이런 상황에서 단일화가 동력을 받기 위해서는 두 후보의 지지율이 변수가 될 것으로 보인다. 최근 각종 여론조사에서 30%대를 유지 중인 김 후보가 40%대에는 안착해야 이 후보의 지지율과 합쳐 산술적으로 역전이 가능하기 때문이다.동시에 이 후보의 경우 10%대에 올라서지 못한다면 제3 후보로서의 한계를 노출하는 동시에 선거비용을 보전받을 수 없게 된다. 단일화에 대한 입장이 바뀔 수도 있다는 주장의 근거다.국민의힘 관계자는 통화에서 “득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