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을에서 볍씨를 파종하는 모
페이지 정보
작성자 coajfieo 댓글 0건 조회 3회 작성일 25-05-19 01:30본문
마을에서 볍씨를 파종하는 모습. 벚꽃이 지고 찔레꽃이 만발하니, 볍씨를 파종할 때가 왔다. 이번 달에는 마을에서 한 번, 공동체 농사에서 한 번, 총 두 번 볍씨 파종에 힘을 보탰다.마을에서는 매일 어르신들이 마을회관에 모여 점심을 먹는데, 여기서 먹는 쌀을 마련하기 위한 파종이다. 볍씨 파종기는 이웃에게 빌린 것으로, 손으로 돌리는 방식이다. 손잡이를 돌리면 벨트가 움직이며 먼저 볍씨가 떨어지고, 이어서 상토(모판 바닥에 까는 흙)가 쏟아진다. 계속 돌리다보니 이웃이 “아이고, 힘들어 죽겄네” 하고 넋두리를 내뱉는다.상토가 너무 적게 덮이자 지나가던 할머니께서 보다 못해 팔을 걷고 손수 상토를 뿌려주신다. “할머니, 허리 아프실 텐데 그만하세요” 해도 할머니는 아랑곳하지 않는다.모판은 일일이 바닥에 깔고, 어느 정도 깔면 그 위에 분무기로 물을 뿌린다. 그렇게 300판 정도를 만들었을까. 모판들을 한데 모아 바람이 들지 않도록 꽁꽁 싸맨다. 이웃이 집에서 오래 쓰지 않았던 이불을 가져와 덮어주며 “따시겠네” 하고 흐뭇해한다.두 번째 파종은 벼농사 공동체와 함께 했다. 올해 심는 것은 자광도, 북흑조, 붉은차나락 토종벼다. 이곳에서는 기후위기로 인해 벼를 늦게 심고, 늦게 수확하기로 결정했다. 마을 파종 뒤 일주일쯤 지나서였다. 이 공동체는 주로 무경운농법을 한다. 일반적인 농사처럼 땅을 갈면 탄소가 많이 배출되기 때문이다. 대신 논에 물을 채우고 우렁이를 풀어 잡초를 없앤다. 또 ‘쌀 강화 시스템’(SRI) 농법을 도입했는데, 이는 한 구멍에 볍씨 1~3알만 심고, 물도 적게 주며, 모가 튼튼히 자라도록 간격을 넉넉히 두는 방식이다. 그래서 일반 모판처럼 빽빽하게 심는 것이 아니라, 구멍마다 볍씨를 나눠 넣는다.이번엔 곡성군 농업기술센터에서 빌려온 자동 볍씨 파종기를 사용했다. 전기로 작동되는 이 기계는 먼저 상토를 깔고, 그 위에 볍씨를 뿌린 뒤 다시 상토로 덮고 물까지 뿌리는 전자동 방식이다. 하지만 초반 조정이 중요하다. 조금만 잘못 맞춰도 상토를 버리고 새로 해야 한다.그런데 아뿔싸, 볍씨의 싹이 너무 많이 나와 기계에 들어가지 않는 문제가 생겼다. 구멍을 키워봐도 해결이 안 된다. 결국 사람 손이 최고다 싶어 ▲ AI 영화 'Bus Stop' 포스터. ▲ 수상 후보작 영화 '디데이'. 울산영화인협회는 제8회 울산단편영화제 공모전 결과, 역대 최대 규모의 출품 수를 기록하며 성공적으로 마감했다고 18일 밝혔다. 지난 3월31일부터 4월18일까지 진행된 공모전에는 총 421편의 작품이 접수됐으며, 이 중 1·2차 심사를 거쳐 총 23편의 본선 진출작 및 수상 후보작이 지난 16일 발표됐다.이번에 본선에 오른 작품은 수상작 후보 10편과 함께 올해 신설된 '울산 청소년 경쟁부문' 4편, 그리고 심사위원단의 적극적인 추천으로 추가 선정된 '심사위원 추천작' 9편 등 총 23편이다. '심사위원 추천작'은 아쉽게 본상 수상작 후보에는 들지 못했지만, 예술성과 완성도 면에서 높은 평가를 받은 작품들이다. 심사위원들은 이들 작품에 대해 "단지 순위에 밀렸을 뿐, 격려와 주목이 필요하다"며 추천 사유를 밝혔다.특히 이번 영화제에서는 지역 영상 인재 양성을 위해 '울산청소년 경쟁부문'을 신설했다. 울산영화인협회 관계자는 "서울 및 수도권에 비해 영상 교육 환경이 열악한 지역 청소년들에게 창작 동기를 부여하고, 지역 간 격차를 줄이기 위한 시도"라고 배경을 설명했다.심사를 맡은 정형석 감독은 심사 총평을 통해 "작품들의 질적 수준이 해마다 향상되고 있어, 심사과정도 더욱 치열했다"며 "한국 영화계가 전반적으로 어려운 시기를 겪고 있지만, 이번 영화제를 통해 미래 감독들에게 희망과 자극이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공모전 시상식은 오는 6월7~8일 이틀간 태화강 국가정원(남구 둔치)에서 개최되는 제8회 울산단편영화제 기간 중 진행될 예정이다.차형석기자 stevecha@ksilbo.co.kr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