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투자망은 스타트업/벤처기업/자영업체 ↔ 투자자 간의 자율진행장터
전략적투자자(SI) 및 재무적투자자(FI)가 투자자로서 함께 참여합니다.

팝업닫기

제주의 진가는 멋진 관광지에만 있지 않다. 중산간

페이지 정보

작성자 coajfieo 댓글 0건 조회 3회 작성일 25-05-18 19:57

본문

제주의 진가는 멋진 관광지에만 있지 않다. 중산간부터 바닷가까지 긴 세월에 걸쳐 주민들이 뿌리 내리며 살고 있는 곳, 바로 마을에서 더욱 멋진 제주를 만날 수 있다. 2025년 새해를 맞아 심규호 중국학회회장이 신발 끈을 질끈 묶고 제주 마을로 향한다. 심규호 회장이 들려주는 흥미로운 마을 이야기를 [제주의소리]를 통해 만나보자. [편집자 주]테우리조선은 말의 중요성을 알았다."나라의 중요한 것은 군사요. 군사의 중요한 것은 말이다."('태종실록'권18, 태종 9년 11월 임오)"나라의 강약은 말에 달려 있으므로 임금의 부富를 물으면 말을 세어서 대답한다."('증보문헌비고'권125, 병고17, 마정조 / 이상 국립제주박물관, '제주말테우리'26쪽 재인용)"임금의 부" 운운은 세조의 발언인데, 그 전고라고 할 수 있는 '예기'의 구절을 보면 내용이 조금 다르다."임금의 부를 묻는 이가 있으면 토지의 너비를 헤아려 답하고, …… 서인庶人(백성)의 부를 묻는 이가 있으면 가축의 숫자를 헤아려 답한다(問國君之富, 數地以對.……問庶人之富, 數畜以對)."과연 세조世祖다운 발언이다. 양마와 관계된 행정을 마정馬政이라 한다. 마정의 최고 결정기관은 의정부 병조이니, 처음부터 군사와 관련시켰음을 알 수 있다. 병조 아래 왕실의 말 사육이나 목마장 및 마정을 총괄한 곳은 사복시司僕寺 제조提調(종2~1품)이고, 지방 행정은 전라도 관찰사, 그 아래 제주목사가 맡았다. 그 아래로 목장을 관할하는 감목관監牧官(종6품), 책임자격인 군두, 부책임자 군부群副가 있고 맨 아래 마소를 생산하고 기르는 이를 목자 또는 목부라고 불렀다. 탐라순력도 '공마봉진貢馬封珍' / 사진=심규호 테우리는 목자의 제주 방언이다. 말을 모는 이는 말테우리, 소를 모는 이는 쉐테우리라고 한다. 말테우리의 삶이 어찌했는지 정확하게 알 수 없으되 조선시대 육고역六苦役 가운데 하나가 바로 목자, 즉 테우리였음을 상기한다면, 그들이 얼마나 힘든 일, 고된 삶을 살아야만 했는지 능히 짐작할 수 있다. 새만금산단 미래모빌리티 테크센터 전경 사진=전북도 제공 전북특별자치도는 친환경차 전환 가속화와 자율주행 기술 실증을 통해 자동차산업 생태계를 미래차 중심으로 재편하고 있다고 18일 밝혔다. 이번 전략은 기후위기 대응과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정책적 흐름에 맞춰 ‘탈 내연기관’ 구조 전환을 핵심으로 하고 있다. 전북자치도에 따르면 세계적으로 전기 상용차 시장은 지난해 709억 달러 규모에서 2029년까지 2556억 달러로 성장할 전망이며 수소연료전지 상용차도 2023년 49억 8000만 달러에서 2031년 624억 달러로 급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도는 전북특별자치도 탄소중립·녹색성장 기본계획(2024년~2033년)에 따라 2030년까지 도내 친환경차 8800대를 보급해 온실가스를 감축하고 지속가능한 성장 기반을 마련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도는 자율주행 상용차 시장도 연평균 8.3%의 성장률을 보일 것으로 전망하며 도내에서는 2027년까지 레벨4(특정구간 무인주행) 수준의 자율주행 상용차 상용화를 목표로 관련 기술개발과 실증사업을 본격화하고 있다. 이에 따라 기존 내연기관 중심 구조에서 탈피해 전기차·자율주행차 중심의 산업구조로 전환하는 다양한 정책을 실행 중이다. 도는 지난해 12월 개소한 ‘미래모빌리티 테크센터’를 중심으로 친환경차 산업 전환의 거점을 구축하고 있다. 새만금산단에 들어선 미래모빌리티 테크센터는 도내 부품기업의 미래차 전환을 지원하며 친환경차 및 자율주행차 핵심부품의 상용화와 공동연구를 추진하는 허브 역할을 담당한다. 현재 센터에는 현재 10개 기업이 입주해 연구개발을 진행하고 있다. 이와 함께 전기차 배터리 성능 및 연소·폭발 등 안전성 분야 한국인정기구(KOLAS) 인증을 준비 중으로 향후 부품 신뢰성 검증기관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계획이다. 친환경 상용차 생산 기반도 확충되고 있다. 현대자동차와 타타대우는 완주·군산을 중심으로 전기트럭과 전기버스의 양산체계를 단계적으로 확대하고 있으며 도는 이들 민간기업과 연계한 기술개발(2023년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