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방송일시 : 2025년 8월 21
페이지 정보
작성자 coajfieo 댓글 0건 조회 1회 작성일 25-08-21 08:52본문
검단어린이치과
□ 방송일시 : 2025년 8월 21일 (목) □ 진행 : 조인섭 변호사 □ 출연자 : 전보성 변호사 *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를 바랍니다. ◆ 조인섭 변호사(이하 조인섭) : 당신을 위한 law하우스, <조담소> 전보성 변호사와 함께 합니다. 안녕하세요? ◇ 전보성 변호사(이하 전보성) : 안녕하세요. 법무법인 신세계로의 전보성 변호사입니다. ◆ 조인섭 : 자... 오늘의 고민 사연... 볼까요? ■ 사연자 : 저는 환갑이 넘은 나이에 결혼했습니다. 물론, 초혼이었습니다. 결혼 전까지만 해도 저는 제 일을 열심히 하며 인생을 즐기며 살아왔습니다. 혼자여도 충분히 행복했죠. 남편은 경제적으로 여유가 있는 사람이었어요. 친구의 소개로 처음 만났는데, 은퇴한 이후, 골프와 여행을 즐기며 살고 있었죠. 자기 관리를 잘했는지 나이보다 젊어보였고, 무엇보다 다정다감했습니다. 이제야 내 인연을 만났구나 싶었습니다. 그래서 늦은 나이인데도 정식으로 혼인신고를 하고 부부가 됐죠. 저와는 다르게 남편은 재혼이었고, 장성한 자녀가 있었습니다. 하지만 모두 결혼해서 분가를 했고요, 저에게 참 싹싹하게 잘 대해줬어요. 저희 부부는 10년 넘게 정말 아무 문제 없이 행복하게 살았습니다. 하지만 영원할 것 같던 시간도 끝이 있었습니다. 남편이 세상을 떠난 겁니다. 그리고 저는 혼자 남게 됐죠. 저는 경제적으로 남편에게 전적으로 의지하며 살았기 때문에 당연히 남편의 유산으로 남은 생을 보낼 수 있을 줄 알았습니다. 그런데 남편이 저에게 남긴 건, 시골에 있는 집 한 채뿐이었습니다. 강남에 있는 아파트와 상가 건물은 이미 오래 전에 자기 두 아들에게 명의를 넘겨 놨더라고요. 물론, 저도 젊을 때 벌어뒀던 돈이 꽤 있었습니다. 하지만 그건 이미 남편이 살아있을 때 함께 여행 다니고 생활비로 쓰면서 거의 다 써버린 상태였어요. 결국 저에게 남은 건 시골집 한 채와 통장에 있는 얼마 안 되는 돈이 전부입니다. 가까운 친구들은 절 보면서 안타까워했습니다. "그래도 10년을 넘게 함께 산 부부인데, 어떻게 유산을 한 푼도 못 받냐'면서, 법적으로 잘 알아보라고 하는데요, 정말 저는 이대로 남편의 유산을 받을 수 없는 건가요? ◆ 조인섭 : 남편이 세상을 떠난 후... 유산을 못 받게 된 분의 사연이었습니다. 늦은 나이에 결혼하실 때만 해도시 지난달 주민등록인구 99만명대마산회원구 통합 이후 20% 줄어도통합시 행정구라 인센티브 못받아비수도권 기준 80만명 완화 요구도창원특례시 인구가 머지않아 외국인을 포함해도 특례시 요건 하한선인 100만명을 지키기 어려울 수 있다는 전망이다. 이는 무엇보다 지방 인구 감소가 가속화하는 추세라는 점이 반영됐다. 이에 정부가 특례시 기준 인구를 완화하고 특히 인구 감소 폭이 두드러지는 창원 마산합포·회원구 등에 대해 인구감소(관심)지역으로 지정할 수 있도록 법령을 정비해야 한다는 여론이 커지고 있다. 창원특례시 인구가 외국인을 포함해도 100만명을 지키기 어려울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는 가운데 20일 오후 성산구 상남동에서 시민들이 횡단보도를 걷고 있다./전강용 기자/ 20일 창원시 등에 따르면, 지난 7월 기준 외국인 주민을 포함한 인구는 101만6368명이다. 올해 창원 총인구는 1월 102만1003명에서 6월 101만6940명으로 감소했다. 올해 월별로 창원 인구는 최소 126명에서 최대 1973명 줄었다. 2월 인구가 전월 대비 1973명 줄어 감소 폭이 가장 컸다.창원에서 외국인 주민을 제외한 주민등록인구(한국인)는 7월 기준 99만4283명이다. 지난해 12월 주민등록인구가 99만9858명으로 100만이 붕괴됐다. 다만 지방자치법상 특례시 기준 인구는 외국인을 포함하는데, 2년간 연속으로 인구가 100만에 미달할 경우 특례시에서 제외한다. 현 추세를 감안할 때 2027년 연말쯤 창원은 외국인 포함 인구가 100만을 하회할 것으로 추정된다. 2029년 전후 창원시가 특례시 지위를 상실할 가능성도 있다. 시는 정부에 비수도권 특례시 인구 기준 완화와 함께 특례시 지원에 관한 특별법 제정을 건의해 왔다. 창원을 비롯해 비수도권에선 기준을 80만명 수준으로 완화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특히 최근 행정안전부와 지방시대위원회 등을 방문해 구청별로 인구감소(관심)지역 지정이 가능하도록 법령 개정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적극 개진하고 있다.지난달 기준 구청별 주민등록인구는 성산구 24만4326명, 의창구 20만8888명, 진해구 18만6324명, 마산회원구 17만8275명, 마산합포구 17만6470명이다.창원 인구는 통합 당시인 지난 2010년
검단어린이치과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