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투자망은 스타트업/벤처기업/자영업체 ↔ 투자자 간의 자율진행장터
전략적투자자(SI) 및 재무적투자자(FI)가 투자자로서 함께 참여합니다.

팝업닫기

마시모 오디오 사업 인수…B&W·마란츠 등 일괄 편입1

페이지 정보

작성자 coajfieo 댓글 0건 조회 12회 작성일 25-05-07 22:31

본문

마시모 오디오 사업 인수…B&W·마란츠 등 일괄 편입1조 클럽 진입한 하만…수익 효자서 기술 허브로"AI 중심 전략과는 거리 멀다"…냉정한 시선도 상존이재용 삼성전자 회장./그래픽=비즈워치삼성전자가 다시 '빅딜'스위치를 눌렀다. 9년 전 하만을 품으며 전장·오디오 시장에 발을 들인 후 이번엔 하만을 앞세워 글로벌 명품 오디오 브랜드들을 통째로 사들였다. 인수 대상은 바워스앤윌킨스(Bowers&Wilkins·B&W)·데논(Denon)·마란츠(Marantz) 등 오디오 애호가들에게 '전설'로 통하는 이름들이다. 하만의 실적 반등과 함께 본격화되는 '오디오 제국'구축 전략이 가시화되고 있다는 평가다.글로벌 하이엔드 오디오 '새 판'짠다삼성전자가 자회사 하만을 통해 미국 의료기기 기업 마시모(Masimo)의 오디오 사업부를 약 5000억원(3억5000만달러)에 사들인다고 7일 밝혔다. 이번 인수합병은 지난 2016년 하만을 80억달러(당시 약 9조3800억원)에 인수한 이후 최대 규모다.당시 하만 인수는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이 등기이사 복귀 후 처음으로 직접 주도한 빅딜로 주목받았다. 삼성전자는 2015년 말 전장사업부를 신설, 자동차 전자장치(전장)를 미래 먹거리로 낙점했고 이 회장은 글로벌 자동차 기업들과 직접 접촉하며 인수합병 후보를 물색했다. 미국 현지 하만 본사를 찾아 경영진과 최종 계약을 맺는 등 인수 과정을 주도한 바 있다.이번에 하만이 인수하는 브랜드는 글로벌 명품 오디오 정점에 있는 B&W를 비롯해 데논·마란츠·폴크·데피니티브 테크놀로지 등이다. B&W는 1966년 설립된 영국 브랜드로, 주력 모델인 '노틸러스'는 한 대당 1억5000만원을 웃도는 고급 제품으로 꼽힌다.하만은 올 상반기 내 인수 절차를 마무리할 예정이다. 실적 반등과 브랜드 확장을 모두 이룬 하만은 삼성전자의 '두 번째 성장 엔진'이자 전장과 오디오를 아우르는 글로벌 리더로 거듭날 전망이다.삼성 실적지도 바꾼 하만하만은 인수 첫 해인 2017년 영업이익 574억원으로 인수 전인 2016년 6800억원보다 부진한 실적을 보였다. 이후에도 고전을 거듭하다 2021년 반등에 성공, 실적 반전의 서막을 열었다.2023년 1조1737억원에 이어 지난해 1조3000억원의 영업이익을 올리며 '1조 클럽'에 안착했다. 특히 지난마시모 오디오 사업 인수…B&W·마란츠 등 일괄 편입1조 클럽 진입한 하만…수익 효자서 기술 허브로"AI 중심 전략과는 거리 멀다"…냉정한 시선도 상존이재용 삼성전자 회장./그래픽=비즈워치삼성전자가 다시 '빅딜'스위치를 눌렀다. 9년 전 하만을 품으며 전장·오디오 시장에 발을 들인 후 이번엔 하만을 앞세워 글로벌 명품 오디오 브랜드들을 통째로 사들였다. 인수 대상은 바워스앤윌킨스(Bowers&Wilkins·B&W)·데논(Denon)·마란츠(Marantz) 등 오디오 애호가들에게 '전설'로 통하는 이름들이다. 하만의 실적 반등과 함께 본격화되는 '오디오 제국'구축 전략이 가시화되고 있다는 평가다.글로벌 하이엔드 오디오 '새 판'짠다삼성전자가 자회사 하만을 통해 미국 의료기기 기업 마시모(Masimo)의 오디오 사업부를 약 5000억원(3억5000만달러)에 사들인다고 7일 밝혔다. 이번 인수합병은 지난 2016년 하만을 80억달러(당시 약 9조3800억원)에 인수한 이후 최대 규모다.당시 하만 인수는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이 등기이사 복귀 후 처음으로 직접 주도한 빅딜로 주목받았다. 삼성전자는 2015년 말 전장사업부를 신설, 자동차 전자장치(전장)를 미래 먹거리로 낙점했고 이 회장은 글로벌 자동차 기업들과 직접 접촉하며 인수합병 후보를 물색했다. 미국 현지 하만 본사를 찾아 경영진과 최종 계약을 맺는 등 인수 과정을 주도한 바 있다.이번에 하만이 인수하는 브랜드는 글로벌 명품 오디오 정점에 있는 B&W를 비롯해 데논·마란츠·폴크·데피니티브 테크놀로지 등이다. B&W는 1966년 설립된 영국 브랜드로, 주력 모델인 '노틸러스'는 한 대당 1억5000만원을 웃도는 고급 제품으로 꼽힌다.하만은 올 상반기 내 인수 절차를 마무리할 예정이다. 실적 반등과 브랜드 확장을 모두 이룬 하만은 삼성전자의 '두 번째 성장 엔진'이자 전장과 오디오를 아우르는 글로벌 리더로 거듭날 전망이다.삼성 실적지도 바꾼 하만하만은 인수 첫 해인 2017년 영업이익 574억원으로 인수 전인 2016년 6800억원보다 부진한 실적을 보였다. 이후에도 고전을 거듭하다 2021년 반등에 성공, 실적 반전의 서막을 열었다.2023년 1조1737억원에 이어 지난해 1조3000억원의 영업이익을 올리며 '1조 클럽'에 안착했다. 특히 지난해 4분기 영업이익은 약 4000억원으로, 같은 기간 삼성전자 영상디스플레이(VD)·생활가전(DA) 사업부의 영업이익(약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