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천=뉴시스] 서
페이지 정보
작성자 coajfieo 댓글 0건 조회 1회 작성일 25-05-27 18:47본문
[서천=뉴시스] 서천군 장항읍 유부도에 쌓인 해양쓰레기더미 모습. *재판매 및 DB 금지 바다는 인간에게 꼭 필요한 천혜의 자원이다. 옹달샘에서 물이 샘솟고 개울을 지나 큰 물줄기로 흐르고 흘러 강을 이루고 마침내 거대한 바다로 흘러간다. 바다는 우리에게 먹을 것을 주었고 뱃길이 되주기도 한다. 그런데 이같이 소중한 바다에 인간들이 무심코 버린 쓰레기들이 몰리고 몰려 거대한 해양 생태계를 파괴시키고 있다. 뉴시스는 해양생태계를 파괴시키는 해양쓰레기 발생 실태와 수거된 쓰레기가 바다에서 어떻게 운반되는지를 취재하기 위해 충남도 소속 해양쓰레기 운반선 '늘푸른 충남호'에 승선했다. 충남 서천군 장항읍 송림리 '유부도'에서 해양쓰레기 수거부터 육지로 운반되는 과정을 생생하게 살펴봤다. (편집자 주)[서천(유부도)=뉴시스] 유효상 기자 = 26일 오전 9시. 충남 서천군 비인면 홍원항에서 늘푸른 충남호(선장 장재성)에 몸을 실었다.해양쓰레기 운반 용도로 지난 2022년 12월 63억7000만원을 들여 131t 규모로 건조된 늘푸른 충남호는 힘찬 뱃고동을 울리면서 충남 서해바다를 가로 질러 유부도로 향했다. 늘푸른 충남호는 현재 선장을 포함 7명의 승조원들이 배를 움직인다. 지난 2023년도에는 313t, 지난해에는 509t, 올 3월말 현재 70t 등의 해양쓰레기 운반실적을 갖고 있다. 매월 선박의 해안 접안이 가능한 시기에 맞춰 운반을 한다. 이 배에는 서천군에서 지원한 트럭 2대가 실려 있다. 섬에 쌓아둔 해양쓰레기를 트럭에 실어 배로 이동시키는 역할이다. 1시간40분 만에 유부도에 도착했다. 멀리서 바라본 섬에는 쌓여 있는 하얀 더미들이 눈에 들어왔다. 충남도 해양정책과 이효구 팀장은 손가락으로 "저기 보이는 하얀 더미들이 해양쓰레기를 모아둔 것"이라고 말했다. 하얀 더미에 카메라 초점을 맞추고 셔터를 연신 눌렀다. 배가 접안해서 직접 눈으로 확인한 결과 하얀 더미는 일명 '톤백'이라는 거대한 용기다. 그 안에는 예상했던 대로 해양쓰레기들이 가득 가득 담겨 있었다. [서천=뉴시스] 서천군 유부도에서 작업자가 1. 주제 다가서기 아기 울음소리는 점차 줄어들고, 일자리를 찾아 대도시로 떠나는 청년들이 늘어나면서 지방의 활력이 빠르게 사라지고 있다. 전라북도 또한 이러한 흐름에서 자유롭지 않다. 전북의 전체 인구는 매년 큰 폭으로 감소하고 있으며, 그중에서도 청년층의 유출이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이는 단순한 인구 수의 감소를 넘어 학교 통폐합, 상권 침체 등 지방 소멸로 이어지는 심각한 사회 문제를 낳고 있다. 지방 소멸은 더 이상 먼 미래의 이야기가 아니다. 이번 시간에는 전북의 인구 감소 실태를 들여다보고, 그 원인과 파급 효과를 살펴보고자 한다. 아울러 이러한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필요한 대응 방안은 무엇인지 생각해 보는 시간을 갖고자 한다. 2. 주제 관련 신문기사 ‣ 중앙일보 2024년 10월 12일 “지방 소멸까지 30년…메가시티 3개만 남는다” ‣ 전북일보 2025년 5월 14일 청년 떠나는 전북…지역 미래 ‘빨간불’ ‣ 전북일보 2025년 5월 7일 ‘인구절벽’ 전주시 63만명 붕괴 코앞 ‣ 전북도민일보 2025년 5월 8일 전북 대학생수 10년새 2만4천여명 줄어들어 ‣ 전북일보 2025년 4월 2일 ‘인구 증가’ 익산시, 호남 4대 도시 자리 되찾아 3. 신문 읽기 <읽기자료 1> “지방 소멸까지 30년…메가시티3개만 남는다” <서울권·세종권·부산권> 한국은 경제·일자리·인구 ‘수도권(서울·경기도) 집중도’ 1위 국가다. 한국·일본·미국·영국·독일·프랑스·이탈리아 등 7개국이 가입돼 있는 ‘30-50 클럽’ (1인당 국민소득이 3만 달러·인구 5000만 명 이상 국가)에서 한국의 수도권 집중화 현상은 유독 두드러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 국민의 50.7%(2023년 기준)가 수도권에 산다. 일자리의 58.5% 역시 수도권에 몰려 있다. 이에 반해 미국의 일자리, 인구의 수도권 집중도는 각각 4.9%, 4.7% 수준으로 한국의 10%도 되지 않는다. 국민들 위기의식 느낄 땐 이미 늦을수도 고령화 현상과 맞물려 지방 소멸이 사회 이슈가 된 일본의 수도권 집중 비율도 30% 안팎이다. 한국은 저출산·고령화로 초가속페달을 밟고 있는데, 수도권 집중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